친절한 랭킹씨 등록금 가장 비싼 의대 5곳 & 덜 비싼 의대 5곳 대학 진학률 전 세계 1위인 우리나라. 등록금이 얼마인지는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는 이슈인데요. 최근 공개된 대학정보공시센터 대학알리미의 '2023년 등록금 현황' 자료를 통해 주요 등록금 정보를 살펴봤습니다. 우선 전국 4년제 대학 중 등록금이 가장 비싼 곳들입니다. 전국 4년제 중 학과 평균 (연간) 등록금이 가장 비싼 곳은 1041만3966원의 을지대학교. 유일하게 1000만원을 넘겼는데요. 을지대는 대전에 있는 보건의료 분야 특성화대학으로 2021년부터 등
친절한 랭킹씨 한국인, 연간 라면 77개···이렇게 먹는데 세계 2위?! 밥을 먹자니 과할 것 같고, 간식을 만들어 먹긴 귀찮을 때 아마 많은 분들이 라면을 선택할 텐데요. 전 세계 사람들은 1년 동안 라면을 얼마나 먹을까요? 세계라면협회의 라면 판매량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라면 소비량은 1212억 개에 달합니다. 80억 명의 전 세계 사람이 평균 15개씩 먹은 셈이죠. 그렇다면 전 세계에서 한 해 동안 라면을 가장 많이 먹은 나라는 어디일까요? 세계에서 라면 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입니다. 2022년에만 무려 450
친절한 랭킹씨 "야 너두?" 세계인이 많이 쓰는 비번 1위는 '○○○○' 은행·메일 등 다양한 시스템을 이용할 때, 우리는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하곤 합니다. 영어로는 패스워드(password), 핀(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이라고 부르는데요. 암호가 노출될 경우 개정 정보가 유출되어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안성은 노출이 적고 복잡할수록 증가하지요. 그만큼 다른 번호들과 중복되지 않는 '나만의 번호'를 만드는 것이 좋을 텐데요. 그렇다
친절한 랭킹씨 남들은 올해 '어디로·언제·어떻게' 떠날까? 추웠던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슬슬 여름휴가를 계획하는 시기가 찾아왔습니다. 더 이상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의 제약 없이 가고 싶은 여행지로 떠날 수 있게 됐는데요. 선택지가 다양해진 만큼 지역을 결정하는 일도 결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휴가 시즌, 사람들이 가장 가고 싶어 하는 여행지는 어디일까요? 제주항공에서 실시한 '올해 여름휴가'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봤습니다. 우선 거리별로 살펴보면 '중·단거리 해외'로 가고
친절한 랭킹씨 포브스 선정 '한국의 자산가' 2위에 이재용···1위는 누구? 최근 국내 한 금융기관은 금융자산 100억원 이상 또는 총자산 300억원 이상을 보유한 이들을 특급 부자, 일명 '슈퍼리치'로 분류했는데요. 이 정도조차 껌값(?)으로 여길 법한 '슈퍼슈퍼리치'도 있을 터. 누구일까요? 최근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2023년 한국의 자산가' 톱 10의 면면을 들여다봤습니다. 우선 10위부터 6위입니다. 10위는 우리에게도 익숙한 이름,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가 자리했습니다. 한화로 약 자산 가치 4조3481억원(4/18 환율 기준)
친절한 랭킹씨 빅3 치킨 프랜차이즈 중 후라이드가 가장 싼 곳은?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메뉴 중 하나인 치킨. 어디를 가든 치킨집이 없는 곳이 드물고, 간편하게 배달 주문을 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자주 즐기는 메뉴입니다. 하지만 최근 일부 브랜드의 가격 인상, 배달료 인상 등으로 치킨을 먹기가 예전보다 힘들어졌습니다. 주머니 사정 때문에 '가장 좋아하는 치킨'이 아닌 '가장 가격이 저렴한 치킨'을 찾는 사람들도 적지 않을 텐데요. 현재 치킨 가격이 가장 싼 곳은 어디일까요? bhc, 교촌치킨, BBQ 등 매출 상
친절한 랭킹씨 "돈 왜 벌어요?" 물어보니···2위 결혼자금, 1위는 '이것' 인생을 살아가면서 반드시 필요한 것 중 하나는 바로 돈입니다. 이 돈을 잘 관리하려면 금융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사람들은 금융에 대해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을까요? 한국은행에서 실시한 '2022 全 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금융 이해력은 100점 만점에 66.5점으로, 2년 전과 비교했을 때 1.4점 올랐습니다. 금융에 대한 이해력은 연령, 학력, 계층 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는데요. 그렇다면 어떤 연령
친절한 랭킹씨 '대기업 오브 대기업' 평균 연봉 2억 넘는 회사 어디?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는 말이 있지만 기업 간 연봉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대체로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더 높은 연봉을 받는다고 볼 수 있는데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연봉은 얼마나 차이 나는지, 대기업 중에서도 특히 연봉이 높은 기업은 어디인지 알아봤습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평균 월급은 386만9000원, 연봉으로 환산하면 4630만원(세전)입니다. 중소기업에 다니는 직장인들은 평균보다 낮은 4150만원의 연봉을 받았습
친절한 랭킹씨 챗GPT 왜 쓰냐고? 2명 중 1명은 '이것'이 목적 경제적으로 유망한 산업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고 있습니다. 거대한 자본 역시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해 유망 산업으로 몰려들게 되지요. 그만큼 확실한 미래유망산업을 예측하는 것도 중요할 텐데요. 실제로 기업·정부·개인할 것 없이 많은 이들이 돈이 되는 산업을 찾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국민들이 생각하는 미래유망산업은 무엇일까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실시한 '미래유망산업 인식조사' 결과를 살펴봤습니다. 국
친절한 랭킹씨 월평균 3.26개 뚝딱···햄버거, 어느 프랜차이즈가 1위? 햄버거 많이들 드실 텐데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버거를 얼마나 자주 먹고, 또 어떤 프랜차이즈를 애용하고 있을까요? 오픈서베이가 조사·발표한 '버거 프랜차이즈 트렌드 리포트 2023*'을 들여다봤습니다. * 수도권 15~59세 남녀 2000명 대상 설문조사(성·연령 인구 비례 할당, 조사기간 2023.2.24~26) 우선 조사 대상자 중 최근 1개월 안에 버거를 먹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1062명, 53.1%였습니다. 또 이들 1062명의 1개월 내 평균 버거 취식 빈도는 3.26회로 집계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