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1인 가구 48% "나 혼자 '빈곤하게' 산다" 우리나라 가구 중 '나 혼자 사는' 가구의 비중은 31.8%로 가장 높았는데요. 1인 가구의 빈곤율도 전체 가구 중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인 가구의 빈곤율은 47.8%로, 절반에 가까운 비율을 기록했습니다. 전체 평균인 30%보다 무려 17%p나 높았습니다. 빈곤한 만큼 소득수준도 낮았습니다. 전체 가구의 연평균 시장소득은 2870만원이었는데요. 1인 가구의 연평균 시장 소득은 약 1000만원 적은 1860만원에 그쳤습니다. 연평균 소득수
카드뉴스 알고도 못 막은 '中 문화재 참사'···이번에도 오히려 좋을까? 중국 쓰촨성 난장현에 있는 마애불에 누군가 페인트칠을 했습니다. 지난 2021년 발견된 이 마애불은 북위 말기에서 당나라 후기에 걸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중국의 고고학 전문가들이 쓰촨성 지역과 중원 북방지역간의 불교문화 및 예술 교류를 밝힐 중요한 증거라고 평가했던 이 마애불. 무려 1400년의 역사를 가진 문화재가 훼손된 것입니다. 마애불에 페인트를 칠한 사람은, 현지 주민인 왕모 씨 가족의 부탁을 받아 사고를 저질렀습니다. 왕모
카드뉴스 '가계빚 1위인데'···이번엔 청년에 2%대 대출 드림? 우리나라 가계 대출이 1875조6000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동시에 빚 폭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이 와중에 정부가 또다시 대출 정책에 나섰습니다. 이번에는 청년 대상입니다. 바로 '청년전용주택드림 청약통장'인데요. 1년간 가입하고 1000만원 이상 납입하면 최저 연 2.2%의 금리로 최장 40년간 분양가의 80%까지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대상 주택은 분양가 6억원·전용면적 85㎡ 이하의 주택이며, 대출 요건은 미혼일 경우 연 7000만원, 기
카드뉴스 미혼 MZ들의 축의금···"결혼식 불참 땐 '이만큼' 내요" 얼마 전 한 커뮤니티에 '직장 후배 결혼식에 와이프랑 가서 밥 먹었는데 축의금을 10만 원밖에 안 했다고 욕먹었다'는 성토 글이 올라와 논란이 된 바 있는데요. 결혼 축의금, 과연 얼마가 적당할까요? 가연결혼정보가 최근 소개한 축의금 설문 결과를 통해, 결혼 적령기인 MZ세대의 인식을 들여다봤습니다. 먼저 가장 적당한 결혼 축의금 액수는 얼마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입니다. 설문은 결혼식에 '참석할 때'와 '불참할 때'로 나눠 이뤄졌는
카드뉴스 "사회적 물의" vs "무죄추정"···'국대 황의조' 갑론을박 최근 축구 국가대표 황의조 선수가 성관계 불법 촬영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데요.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예선 경기에 황 선수가 출전하면서 국가대표 자격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 6월, 황의조 선수의 전 연인이라고 주장하는 한 여성이 황 선수의 성관계 영상을 SNS에 유포하며, 황 선수가 다수의 여성들과 관계를 가지고 불법 촬영을 하며 피해를 줬다고 주장한 건데요. 많은 네티즌들이 유죄 판결 여부를 떠나 국가대표의 품
카드뉴스 세계에 내놔도 꿀리지 않는다는 명동 임대료, 얼마길래 우리나라에서는 서울의 평균 임대료가 가장 비쌉니다. 서울 가운데에서도 명동거리, 강남역 등 주요 번화가의 임대료가 특히 높습니다. 그리고 그중 최고가는 명동거리인데요. 명동거리 임대료, 외국 번화가와 비교하면 어느 수준일까요?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세계의 주요 번화가' 보고서에 따르면 올 3분기 명동거리의 1㎡당 월 임대료는 평균 76만8150원, 3.3㎡로 계산 시 253만4895원입니다. 전 세계 주요 번화가의 임대료는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평균
카드뉴스 '위험한 1위' GDP보다 가계부채가 많은 유일한 나라 전 세계가 경제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고환율, 고금리, 고물가에서 벗어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데요. 세계 각국의 경제 상황은 어떨까요? 국제금융협회의 세계 부채 최신 보고서를 살펴봤습니다. 세계 34개국을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한국의 GDP 대비 비(非)금융 기업 부채 비율은 126.1%입니다. 이는 2분기보다 5.2%p 증가한 것으로, 한국보다 높은 나라는 홍콩과 중국뿐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긴축기조를 보이는 가운데 고
카드뉴스 한 잔만 마셔도 빨개지는 당신, 술 말고 '이 안주' 드세요 술은 몸속에 들어오면 알코올 분해효소가 작용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바뀝니다.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는 우리 몸에서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가 작용해 비독성물질인 아세트산으로 분해되는데요.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하거나 과음할 경우 독성물질이 몸에 쌓여 숙취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표 증상으로는 얼굴이 빨개지는 것이 있는데요. 술을 한 잔만 마셔도 빨개진다면 분해효소가 부족한 것입니다. 분해효소가 부족한 경우 술만 멀리
카드뉴스 치솟는 가계빚에 '전세대출 DSR' 고민하는 정부 최근 국내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 규모로 늘어나면서 정부가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는데요. 대책방안 중 하나로 DSR 규제 예외 대상이었던 전세대출에 대한 DSR 적용을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DSR 규제 예외 대상은 전세자금대출, 새희망홀씨·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상품, 300만원 이하 소액대출, 정책 모기지 상품인 특례보금자리론 등 16개 항목인데요. 지난 9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올해 2분기 이후 가계대출 증가폭이 빠
카드뉴스 '관리비 비싸다'는 사람들···얼마씩 내나 보니 과거 전세나 월세를 계약할 때 세입자는 관리비에 대한 설명을 제대로 들을 수 없었습니다. 특히 원룸, 오피스텔 등에서 관리비는 제 2의 월세로 악용되는 등 '깜깜이' 논란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지난해 11월 주택임대차표준계약서에 관리비 항목이 추가됐고, 최근에는 10만원 이상 관리비의 세부내역을 표시하도록 개선됐습니다. 하지만 이는 의무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는데요. 사람들은 관리비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