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3일 목요일

  • 서울 30℃

  • 인천 30℃

  • 백령 23℃

  • 춘천 31℃

  • 강릉 32℃

  • 청주 32℃

  • 수원 31℃

  • 안동 33℃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31℃

  • 전주 34℃

  • 광주 33℃

  • 목포 31℃

  • 여수 32℃

  • 대구 35℃

  • 울산 34℃

  • 창원 33℃

  • 부산 33℃

  • 제주 30℃

마이크론 검색결과

[총 36건 검색]

상세검색

HBM 날개 단 SK하이닉스···美 마이크론 '맹추격'

전기·전자

HBM 날개 단 SK하이닉스···美 마이크론 '맹추격'

전 세계 D램 1위 업체 SK하이닉스가 역대급 장밋빛 실적을 이어가는 가운데, D램 3위 업체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의 추격이 빨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 안팎에서는 2위 삼성전자와의 격차도 조만간 좁혀지지 않겠냐는 의견이 나온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은 2025년 3분기(2~5월) 93억달러(한화 12조6619억원)의 매출과 1.91달러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37% 늘었고, 주당 순이익도 시장 예상치

학계 "삼성 반도체의 최대 숙제는 '수율 확보'"

전기·전자

학계 "삼성 반도체의 최대 숙제는 '수율 확보'"

삼성전자와 글로벌 파운드리 1위 업체 대만 TSMC가 올해 하반기 나란히 2나노 공정 양산에 나선다. 업계에서는 양사 기술 경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수율(생산품 대비 정상품의 비율) 확보와 고객사 수주 측면에서 TSMC에 뒤처지고 있다는 위기감을 내비치고 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TSMC는 올해 하반기 나란히 차세대 2나노 공정 양산을 앞두고 있다. 2나노 공정은 반도체 회로선폭이 2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삼성, D램 2위도 '위태'···HBM4도 SK하이닉스·마이크론 2파전

전기·전자

삼성, D램 2위도 '위태'···HBM4도 SK하이닉스·마이크론 2파전

고대역폭메모리(HBM) 6세대인 HBM4를 둔 본격적인 경쟁의 서막이 올랐다. 이번 경쟁에서도 SK하이닉스와 미국 마이크론이 고객사 샘플 공급 소식을 앞다투어 전하며 2파전이 형성됐다. D램 내 HBM의 비중이 점차 커져가고 있는 가운데 마이크론이 삼성전자를 재차 한발 앞서면서 D램 업체들간 지각변동이 또 한차례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지난 10일(현지시각) HBM4 36기가바이트(GB) 12단 샘

HBM서 기회 엿 본다··· 美 마이크론, 삼성·SK 맹추격

전기·전자

HBM서 기회 엿 본다··· 美 마이크론, 삼성·SK 맹추격

미국의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이 고대역폭메모리(HBM)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전담부서를 꾸리는가 하면 생산능력을 키우면서 국내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바짝 뒤쫓고 있다. 특히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 내에서 3위에 머물러있던 마이크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기조 하에서 오히려 성장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여 국내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을 따라잡을 수

D램은 마이크론에 AP는 퀄컴에···삼성전자, '반도체 제왕' 명성에 흠집

전기·전자

D램은 마이크론에 AP는 퀄컴에···삼성전자, '반도체 제왕' 명성에 흠집

'기술의 삼성' '반도체의 제왕'의 명성에 금이가고 있다. 이달 말 출격을 앞두고 있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 S25 일부 부품에 모바일 D램 1차 공급사에 미국 마이크론이 낙점되면서다. 특히, 갤럭시 S25 제품에 퀄컴의 AP '스냅드래곤8 엘리트'를 탑재할 것으로 알려진 점도 삼성전자의 기술 경쟁력이 뒤떨어지는 것이라는 지적도 받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한국시각 기준 오는 23일 오전 3시 미국 새너제이에서 삼성 갤럭시 언

HBM 2위도 불안?···마이크론 따돌릴 삼성전자 비밀병기는

전기·전자

HBM 2위도 불안?···마이크론 따돌릴 삼성전자 비밀병기는

미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서 삼성전자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마이크론은 올해 HBM 시장 점유율을 기존 대비 11%포인트(p) 올리겠다는 목표며, 삼성전자는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을 내세워 격차를 벌릴 것으로 보인다. 15일 시장조사업체 트렌스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글로벌 HBM 시장서 38%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다. 1위는 국내 기업인 SK하이닉스가 53%의 점유율을 쓰며

마이크론 날았다···삼성·SK, 'AI 고점' 우려 잠재울까

전기·전자

마이크론 날았다···삼성·SK, 'AI 고점' 우려 잠재울까

세계 3위 메모리 기업인 미국 마이크론이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최근 전방산업의 수요 감소로 업황 우려가 커진 가운데 나타난 반전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긍정적 영향이 예상되면서도 3분기 실적은 눈높이를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6일 마이크론은 2024회계연도 4분기(2024년 6~8월) 매출이 77억5000만달러(약 10조3600억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 분기 대비 13.8%, 전년 동기 대비 93.2% 증가한 것으로 시장 예상치(7

힘 잃은 반도체株, 美마이크론 실적 발표 '주목'

종목

[애널리스트의 시각]힘 잃은 반도체株, 美마이크론 실적 발표 '주목'

국내 반도체 주가가 좀처럼 기지개를 켜 못하고 있다. 메모리 업황 부진 우려 여파다. 여기에 '메모리 반도체의 겨울' 우려를 담은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의 보고서와 퀄컴의 인텔 인수 타진 보도 등도 주가를 움추려들게 했다. 시장에서는 최근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과잉 우려로 주가 조정을 겪은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러지의 실적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마이크론은 글로벌 반도체 업체 가운데 가장 먼저 실적을 발표해 반도

SK하이닉스, 메모리 3사 중 유일하게 점유율 늘었다

전기·전자

SK하이닉스, 메모리 3사 중 유일하게 점유율 늘었다

SK하이닉스가 메모리 3사 가운데 유일하게 D램(DRAM) 시장에서 점유율을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후광 덕이다. D램 시장에서 HBM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당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는 SK하이닉스의 시장점유율 확대 추이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2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SK하이닉스의 D램 시장점유율은 34.2%로 2위를 기록했다

HBM 흥행에 글로벌 D램 매출 30조 돌파···SK하이닉스 점유율 '껑충'

전기·전자

HBM 흥행에 글로벌 D램 매출 30조 돌파···SK하이닉스 점유율 '껑충'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고부가 D램의 출하량 확대에 힘입어 올 2분기 글로벌 메모리 업계의 매출이 총 30조원을 넘어섰다. 특히 우리나라의 SK하이닉스가 홀로 점유율을 끌어올려 시선을 모으고 있다. 15일 연합뉴스와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분기 글로벌 D램 업계의 총매출은 229억달러(약 31조원)로 집계됐다. 전분기 대비 24.8% 증가한 수치다. 트렌스포스는 수익성을 높인 메인스트림 제품의 출하량 확대가 매출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