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 "최대과제는 PF정리···소통 강화해 시장신뢰 회복"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브릿지론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시장 신뢰를 회복하고 서민금융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오 회장은 연임 후 자산 건전화, 규제완화, M&A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하며 금융당국과 소통 강화를 강조했다.
[총 369건 검색]
상세검색
저축은행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 "최대과제는 PF정리···소통 강화해 시장신뢰 회복"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브릿지론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시장 신뢰를 회복하고 서민금융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오 회장은 연임 후 자산 건전화, 규제완화, M&A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하며 금융당국과 소통 강화를 강조했다.
저축은행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 "올해 최대 과제 M&A·연체율···PF 부실정리 총력"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이 연체율과 M&A 문제 해결에 총력을 기울인다. 저축은행의 자본비율은 15%로 안정적이며, 뱅크런 우려에도 유동성은 충분하다. 부실 PF 정리와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를 통해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M&A 시장 개방과 부실자산 정리도 주요 과제로 지목됐다.
저축은행
저축은행 지난해 순손실 3974억원···부실자산 둔화에 적자 축소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저축은행업권의 순손실액이 전년(5785억원) 대비 줄어든 397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조달비용 감소로 이자이익이 598억원 늘고 부실여신 증가폭 둔화로 대손비용은 1780억원이나 감소했다. 지난해 저축은행업권의 연체율은 8.52%로 전년말 대비 1.97%포인트(p)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4.53%로 전년말 대비 0.48%p 하락했고 기업대출은 4.79%p 오른 12.81%를 기록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년 대비 2.91%포인트(p) 상승한 10.66%를 기
저축은행
금융위, 저축은행 구조조정 속도···M&A 허용 대상 범위 넓힌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업권의 신속한 시장자율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 M&A 기준을 한시적으로 완화한다. 금융위원회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20일 오전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유관기관, 저축은행업계, 관련 전문가와 함께 '저축은행 역할 제고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저축은행 역할 제고방안'에는 ▲지역·서민금융공급 확대 ▲영업역량 및 기반 확충 ▲시장안정 및 건전성 관리 지원 등의 내용이 담겼다. 금융당국은 우선 저축은행의 자율적
저축은행
금융위, 상상인저축은행 경영개선권고···페퍼·우리·솔브레인 '유예'
금융위원회가 상상인저축은행에 대해 경영개선권고를 부과했다. 단 이번 경영개선권고는 저축은행의 건전경영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영업정지 등 소비자 불편이 발생하는 조치는 포함되지 않았다. 금융위는 19일 제5차 정례회의를 개최해 페퍼·우리·솔브레인저축은행에 대해 적기시정조치를 유예하고, 상상인저축은행에 대해 경영개선권고를 부과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에 경영개선권고를 내린 건 지난해 12월 안국저축은행과 라온저축
저축은행
긴장감 감도는 저축은행···PF 여진에 '적기시정조치' 더 나온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부실 문제로 경영개선 조치를 검토 중이다. 저축은행의 건전성과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금융위는 이달 중 적기시정조치 가능성을 논의할 예정이다. PF 사업장 매각이 지연되면서, 저축은행들의 연체율이 급등하고, 매각 추진 사업장 수가 증가하는 등 업권 전반에 위기가 감돌고 있다.
저축은행
금감원, 예보와 저축은행 PF 대출 공동검사 나선다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의 PF 여신 프로세스 적정성 등을 집중 점검하기 위해 예금보험공사와 공동검사를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 그간 금감원과 예금보험공사의 공동검사는 자산 규모를 기준으로 대형 저축은행(2조원 이상) 위주로 진행됐다. 앞으로는 저축은행 업권의 실질 리스크를 감안해 규모와 관계없이 주요 취약부문에 대해 합동 테마검사가 이뤄진다. 이번 공동검사시 양 기관은 PF 대출의 심사·승인·사후관리 등 여신 취급 프로세스와 관
저축은행
PF 충격 속 양극화 심화···저축은행 '차등규제' 돌파구 될까
부동산 파이낸싱프로젝트(PF) 부실 여파로 저축은행의 수익성 악화가 장기화되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의 건전성 관리 압박이 더해져 저축은행의 성장은 당분간 기대하기 어려워진 상황이다.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소형 저축은행의 경영난이 심화되면서 규모에 따라 규제를 차등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 6일 대형 저축은행 9곳(SBI·OK·한국투자·웰컴·애큐온·다올·페퍼·신한·DB
저축은행
금융당국, 일부 저축은행에 '취약' 추가통보···적기시정조치 가능성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여러 곳의 자산건전성 지표에 '취약' 등급을 추가 확정하면서 적기시정조치 부과 논의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업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금융위원회에 지난해 6월 말 기준 자산건전성 지표와 관련해 저축은행 4곳을 대상으로 한 경영실태평가의 최종 평가 등급을 전달했다. 이들 대부분이 4등급(취약)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지난해 3월 말 기준으로도 3곳에 취약 등급을 확정했으며,
저축은행
건설사 줄도산 우려에 PF 리스크↑···저축은행 NPL 투자사 '만지작'
태영건설에 이어 신동아건설까지 휘청이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에 적신호가 켜졌다. 사실상 2차 PF 파동이 현실화되면서 부실채권(NPL)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의 리스크가 더욱 부각되는 모양새다. 저축은행업계는 NPL 투자사를 세워 부실채권을 정리한다는 복안이지만 자금조달 과정에서 험로가 예상된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에 따른 금융권 영향 등을 점검하고 있다. 건설사 시공능력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