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반
SK일렉링크,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 추진···"2033년까지 320만톤 확보"
SK일렉링크가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을 추진한다. 글로벌 인증기관 통해 탄소배출권 발행 예정이며, 충전량 데이터를 통해 2033년까지 320만 톤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 사업으로 차후 충전 인프라 확장과 서비스 품질 개선에 힘쓸 예정이다.
[총 26건 검색]
상세검색
산업일반
SK일렉링크,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 추진···"2033년까지 320만톤 확보"
SK일렉링크가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을 추진한다. 글로벌 인증기관 통해 탄소배출권 발행 예정이며, 충전량 데이터를 통해 2033년까지 320만 톤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 사업으로 차후 충전 인프라 확장과 서비스 품질 개선에 힘쓸 예정이다.
산업일반
SK일렉링크, 전기차 충전업계 첫 전자금융업 등록
전기차 급속 충전 사업을 영위하는 SK일렉링크가 업계 최초로 전자금융업 등록을 마쳤다. 18일 SK일렉링크는 충전 크레딧 사업 운영을 위한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관리업(선불업)'과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업)'을 등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머지·티메프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이 지난해 시행된 데 다른 조치다. 일정 금액을 먼저 결제해 크레딧을 충전하고 사용토록 하는 만큼 SK일렉링크도 그 대상에 포함된다. 이와 함
전기·전자
"BS사업부 매출 10조 달성"···LG전자, '맞춤형'으로 B2B 드라이브(종합)
"LG전자는 오랜 기간 가전사업을 해오면서 고객들의 신뢰를 받아왔다. 이같은 고객 경험을 병원, 호텔 등 공간에서의 고객 경험으로 확장해 나가고자 한다." LG전자가 오는 2030년까지 BS(Business Solutions) 사업본부의 매출을 10조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프리미엄 사이니지 등 캐시카우 사업과 함께 전기차 충전기, 의료용 모니터 등 유망 신사업 육성에 속도를 낸다는 구상이다. 장익환 LG전자 BS사업본부장은 10일
전기·전자
"BS사업부 매출 10조 달성"···LG전자, B2B 드라이브
LG전자가 오는 2030년까지 BS(Business Solutions) 사업본부의 매출을 10조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프리미엄 사이니지 등 캐시카우 사업과 함께 전기차 충전기, 의료용 모니터 등 유망 신사업 육성에 속도를 낸다는 구상이다. LG전자 BS사업본부가 10일 경기도 평택시 LG디지털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비전을 밝혔다. LG전자는 앞서 지난 8월 열린 '인베스터 포럼'에서도 2030년까지 전체 매출에서 기업간거
한 컷
[한 컷]'서울시와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식
(오른쪽부터)류정훈 두산로보틱스 대표이사, 우종진 LG전자 BS연구소장, 여장권 서울특별시 기후환경본부장, 정규원 현대자동차기아 상무, 김대근 LS E-Link 대표이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1동에서 열린 '서울시와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협약서 서명을 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시는 높은 충전기 보급률에도 불구하고 긴 대기시간, 충전케이블 무게, 일률적인 충전기 유형
한 컷
[한 컷]김대근 LS E-Link 대표,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참여
김대근 LS E-Link 대표이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1동에서 열린 '서울시와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참여기관에 대한 소감을 전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시는 높은 충전기 보급률에도 불구하고 긴 대기시간, 충전케이블 무게, 일률적인 충전기 유형 등으로 여전히 이용이 불편하다는 의견을 수렴해 민간기업과 손잡고 초고속충전소, 로봇 충전기, 천장형 충전 건 등 다양한 형태의
한 컷
[한 컷]협약 소감 밝히는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대표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대표이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1동에서 열린 '서울시와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참여기관에 대한 소감을 전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시는 높은 충전기 보급률에도 불구하고 긴 대기시간, 충전케이블 무게, 일률적인 충전기 유형 등으로 여전히 이용이 불편하다는 의견을 수렴해 민간기업과 손잡고 초고속충전소, 로봇 충전기, 천장형 충전 건 등 다양한 형태의
전기·전자
LG전자, 북미 1위 충전사업자 차지포인트와 손잡는다
LG전자가 북미 1위 전기차 충전사업자(CPO, Charge Point Operator)와 손잡고 전기차 충전사업의 글로벌 확대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최근 북미 충전사업자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전기차 충전 사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9일 밝혔다. LG전자 서흥규 EV충전사업담당, 차지포인트 릭 윌머(Rick Wilmer) CEO 등이 참석한 가운데 美 캘리포니아주 캠벨에 위치한 차지포인트 본사에서 협약식을 가졌다. 차지포인트는 미국과 캐
통신
LG유플러스 볼트업, 공식 출범···현준용 "전기차 충전 문제 반드시 해결"
LG유플러스는 카카오모빌리티와 손잡고 설립한 전기차 충전 합작법인 'LG유플러스 볼트업'이 공식 출범했다고 5일 밝혔다. LGU+는 기지국, 데이터센터 등 전국단위 인프라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전기차 충전 사업에 경쟁력과 성장 기회가 있다고 판단, 2021년 신사업에 뛰어들었다. 이후 서비스 확장 및 고객 편의 제고를 위해 플랫폼 사업자인 카카오모빌리티와 손을 잡고 합작법인 설립을 최종 확정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대리운전
인터넷·플랫폼
카카오모빌-LGU+, '전기차 충전 합작사' 설립 승인···수장은 현준용 LGU+부사장
LG유플러스와 카카오모빌리티의 전기차 충전 사업이 속도를 더한다. 이날 공정위는 이들 합작회사 설립을 승인했는데, 이들 기업 결합이 시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낼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29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LG유플러스와 카카오모빌리티의 전기차 충전 사업 합작회사 설립을 승인했다. 지난 7월 양사가 공정위 심사 계획을 밝힌 지 약 9개월 만이다. 공정위는 합작 회사 설립이 시장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 내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