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1일 화요일

  • 서울 5℃

  • 인천 4℃

  • 백령 6℃

  • 춘천 -1℃

  • 강릉 8℃

  • 청주 3℃

  • 수원 3℃

  • 안동 3℃

  • 울릉도 7℃

  • 독도 7℃

  • 대전 3℃

  • 전주 2℃

  • 광주 1℃

  • 목포 4℃

  • 여수 5℃

  • 대구 4℃

  • 울산 4℃

  • 창원 4℃

  • 부산 4℃

  • 제주 4℃

직장인 검색결과

[총 259건 검색]

상세검색

세금 더 낼까봐 연말정산 안 한 사람 있어?

비즈

[카드뉴스]세금 더 낼까봐 연말정산 안 한 사람 있어?

직장인이라면 1~3월 안에 연말정산을 해야 합니다. 누구나 '13월의 월급'을 원하지만, 모두가 세금을 환급받을 수는 없습니다. 모의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더 내야 한다고 나온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세금을 추가 납부해야 한다는 결과를 보고 '그냥 연말정산을 하지 말까?'하는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을 텐데요. 연말정산을 하지 않으면 세금을 더 내지 않아도 될까요? 직장인이라고 해도 연말정산을 하지 않을 수는 있습니다. 연말정산 기간 동안 필요한 자

'직장인 평균 상여금 1069만원' 소식에 네티즌들 뿔난 이유

비즈

[카드뉴스]'직장인 평균 상여금 1069만원' 소식에 네티즌들 뿔난 이유

직장인들에게 비정기적으로 지급되는 돈을 상여금이라고 합니다. 상여금은 급여에 '+α'로 받는 것이기에 회사생활의 활력소가 되기도 하는데요.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상여금을 얼마나 받고 있을까요?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상여금을 받은 근로자는 총 987만8416명입니다. 이들은 상여금으로 평균 1069만원을 받았습니다. 평균은 1069만원이지만 중윗값은 435만원으로 상·하위 간 격차가 컸습니다. 상여금 수령액 상

직장인 점심값 10년 새 53% 증가···월급은?

숏폼

[저스트원미닛]직장인 점심값 10년 새 53% 증가···월급은?

만원으로 점심 한 끼 해결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최근 직장인들의 평균 점심값을 묻는 조사에서 9000원대와 1만원대 응답률이 가장 높았는데요. 9000원대 이상 응답률을 합하면 61.9%에 달했습니다. 지난해 11월에는 직장인들의 평균 점심값이 1만37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죠. 얼마나 비싸진 건지 10년 전 점심값도 알아봤는데요. 10년 전(2014년)엔 평균 6488원이었습니다. 10년 새 54.7% 오른 것이죠. 그렇다면 직장인들의 월급도 그만큼 올랐을까요?

1억 넘게 버는 사람, 직장인 vs 자영업자 어디가 더 많을까?

숏폼

[저스트원미닛]1억 넘게 버는 사람, 직장인 vs 자영업자 어디가 더 많을까?

1억 이상 소득 비율, 어느 쪽에서 높을까요? 우선 직장인입니다. 국세청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4332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분포를 보면 3000만원 이하가 45.3%로 가장 많았고, 고소득자의 기준이라 할 수 있는 1억원 초과는 6.6%였죠. 자영업자, 그중 소상공인은 어떨까요? 이 경우 매출보다는 영업이익을 봐야 할 텐데요. 기획재정부 자료에 근거하면 2022년 기준 소상공인 중 영업이익 1억원 이상을 달성한 비율은 3.6%로 추정됩

"40살 아저씨는 회사에서 ○○○ 입지 마!" 일본 미녀 작가의 발언 논란

소셜

[카드뉴스]"40살 아저씨는 회사에서 ○○○ 입지 마!" 일본 미녀 작가의 발언 논란

최근 일본에서는 미모로 유명한 20대 작가 '세노 유카'가 유튜브에서 "40살 가까이 된 주제에 직장에서 후드티를 입는 아저씨는 이상하다"고 발언해서 논란이 되었습니다. 이후에 그녀는 매체 '집영사 온라인'을 통해 "아저씨들은 직장에서 정장 대신에 후드티나 티셔츠를 입으면 단정하게 안 보인다. 그리고 회식으로 노래방에 갔을 때 젊은 세대 노래를 부르지 말라"고도 덧붙였습니다. 대중들은 중년 남성을 향한 편견을 드러낸 그녀의 발언이 '직장 내 연

기업들, 직원 복지에 얼마 쓰나 보니···1인당 '75만원'

비즈

[카드뉴스]기업들, 직원 복지에 얼마 쓰나 보니···1인당 '75만원'

기업에서는 직원들에게 임금 외에도 다양한 복지를 제공합니다. 어떤 복지를 제공하는지는 기업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요. 우리나라 기업들의 복지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요? B2B 서비스 플랫폼 위펀이 최근 발표한 '위펀 HR 인사이트 리포트 1편: 2024 기업 복지 운영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평균 5.8개의 복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업종별로 직원들에게 제공하는 복지가 가장 많은 산업은 전기·전자·반도체로 평균 7개를 운영하

몇 살까지 '신입사원' 가능할까 물었더니

비즈

[카드뉴스]몇 살까지 '신입사원' 가능할까 물었더니

기업에서는 다양한 연령의 사람들이 각자의 직무를 수행합니다. 그런데 우리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직장인들의 평균 연령도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평균 연령은 46.8세입니다. 2010년 43.1세였던 직장인 평균 연령이 12년 사이 3.7세 상승했습니다. 앞으로도 고령화 추세는 이어져 2050년에는 직장인들의 평균 연령이 53.7세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러한 현상과 맞물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