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6일 수요일

  • 서울 29℃

  • 인천 30℃

  • 백령 26℃

  • 춘천 29℃

  • 강릉 27℃

  • 청주 28℃

  • 수원 29℃

  • 안동 28℃

  • 울릉도 22℃

  • 독도 23℃

  • 대전 29℃

  • 전주 29℃

  • 광주 30℃

  • 목포 27℃

  • 여수 26℃

  • 대구 30℃

  • 울산 27℃

  • 창원 29℃

  • 부산 26℃

  • 제주 23℃

광역단체장과 대권주자의 상관관계

[포커스]광역단체장과 대권주자의 상관관계

등록 2014.05.16 09:14

이창희

  기자

“광역단체장은 자신의 관할 지역에서 막강한 권한을 갖는 행정직이다. 광역시·도의 규모와 인구 등 각기 조건들에 따라 권한의 크기는 차이가 있지만 영향력 자체는 대동소이한 것이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대통령도 행정직이라는 면에서 같은 선상에서 볼 수 있다”

서울시의 한 전직 고위공무원이 말한 ‘광역단체장의 위상’이다. 그는 점차적으로 광역단체장이 대선에 직접 도전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세계 선진국들의 경우 탁월한 행정 능력을 증명한 단체장이 대통령에 당선되는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부터 광역단체장이 자천 타천으로 대권주자가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가깝게는 지난 18대 대선을 앞두고 김두관 경남지사와 박준영 전남지사가 민주당 대선후보 선출 경선에 참여했었고, 이명박 전 대통령은 서울시장 시절부터 물망에 오르다 결국 17대 대통령에 당선되기도 했다.

현재 대권주자급 인사인 손학규 새정치연합 상임고문도 경기지사 재직시절 대권주자로 분류됐었으며, 이인제 새누리당 의원도 경기지사를 역임한 경험을 밑천 삼아 대선에 도전한 바 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역시 차기 대선후보 여론조사에서 항상 빠지지 않고 이름을 올렸다.

이 같은 배경이 이번 6·4지방선거를 승리로 가져가는 광역단체장들의 차후 행보에 여론의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로 풀이된다. 특히 서울시장 선거에 나선 정몽준 후보와 박원순 후보 공히 차기 대권에 대해 선을 긋고 있음에도 이들을 둘러싼 ‘대망론’이 수그러들지 않는 것 역시 이를 방증한다.

이번 광역단체장 선거에 도전하는 현역 국회의원들의 수가 크게 늘어난 것도 크게 다르지 않은 이유인 것으로 분석된다. 민선 1기였던 지난 1995년 지방선거 이래 매 선거마다 5명 내외의 현역 의원이 도전장을 내밀었으나 이번에는 무려 10명으로 대폭 늘어났다.

이창희 기자 allnewguy@

뉴스웨이 이창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