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고정금리대출 확대 정책에 서민들 이자부담 늘어 ‘울상’

고정금리대출 확대 정책에 서민들 이자부담 늘어 ‘울상’

등록 2014.08.20 08:22

이나영

  기자

공유

금융당국의 고정금리대출 확대 정책으로 서민들의 이자 부담이 커졌다.

이에 따라 시장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탁상공론 식의 정책만 꾀한 금융당국의 태도에 대한 불만과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14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연 2.50%→2.25%)로 대출금리가 평균 0.25%포인트 하락할 경우, 약 9000억원의 가계대출 이자 경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3월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 478조5000억원 중 변동금리대출은 355조5000억원(74.3%)에 달한다.

대출이자가 9000억원 가까이 줄어들면 대출자 779만6000여명이 1인당 연간 11만4000원의 이자 경감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그러나 나머지 25.7%에 해당하는 123조원에 달하는 고정금리대출을 받은 고객들은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하락한다고 했을 때 3000억원 가량의 이자혜택을 받지 못한다.

2011년 상반기까지 전체 가계대출에서 고정금리대출의 비중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지난 2011년 6월에 금융당국이 전체 가계대출의 5% 수준인 은행들의 고정금리대출 비중을 2016년 30%까지 늘리는 내용의 `6.29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내놓으면서 고정금리대출이 본격적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2010년 말 전체 가계대출의 5.1%였던 고정금리대출의 비중은 2011년 9.3%, 2012년 19.8%, 지난해 21.3%로 올랐고 올해 6월 말에는 25.7%로 올라섰다.

문제는 고정금리대출의 확대 추세와 동시에 시중금리가 급격히 하락했다는 점이다.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010년 연 5%에서 2011년 4.92%, 2012년 4.63%, 지난해 3.86%로 떨어졌고 올해 6월 말 기준으로는 3.58%이다.

금융당국의 정책에 따라 고정금리대출을 받은 고객이라면 최근 3년 동안 1.34%포인트에 달하는 대출금리 하락 혜택을 놓친 것이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이 내놓은 지원책이 현실과는 동떨어진 탁상행정이라는 비판을 무시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나영 기자 lny@

뉴스웨이 이나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