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증권→유안타증권 사명변경
사태 후 증권사 내부통제 강화 계기
시간이 흐르면서 많은 것들이 변했다. 유안타증권으로 간판이 바뀌면서 동양증권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재발 방지를 위한 수많은 대책도 마련됐다.
관련자들에 대한 처벌도 진행됐다. 검찰은 현재 현재현 전 동양그룹 회장에게 징역 15년을 구형한 상태다.
그러나 아직 아픔이 모두 사라진 것은 아니다. 여전히 동양사태 피해자들은 피해 보상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 회사채 시장은 아직도 차가운 기운이 돌고 있다.
◇동양證, 유안타 달고 신뢰 회복에 박차
동양사태 이후 1년간 가장 많은 변화가 있었던 곳은 다름 아닌 동양증권이다. 지난 5월 대만의 유안타금융그룹에 매각되면서 다음 달부터는 유안타증권으로 간판도 바뀌게 된다.
동양사태의 가장 큰 직격탄을 맞은 것은 다름 아닌 동양증권이다. 현 회장 일가는 동양증권을 통해 동양그룹의 부실 CP 및 채권을 유통시켰기 때문이다.
동양증권의 당시 상황을 빨리 수습해 새 주인을 찾게 하는 것이 서 사장의 첫번째 과제로 떠올랐다.
빠른 매각은 동양증권의 직원뿐만 아니라 채권단의 입장에서도 요원했다. 최대한 짧은 시간, 높은 가격에 매각해야 채권단의 보상 금액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대만 유안타증권의 동양증권 실사는 서명석 현 사장의 내정 일주일 후 즉각 실시됐다. 당시 부사장으로서 동양증권 CP·회사채 피해 최소화를 위한 태스크포스(TF)의 팀장을 맡은 서 사장은 유안타증권의 인수 인사를 듣고 대만으로 즉각 달려가는 등 적극적인 대처에 나섰다.
동양증권 내부에서도 많은 일이 진행됐다. 희망퇴직을 통해 조직을 대폭 축소했고 남은 직원들도 고통 분담을 위해 많게는 50%까지 급여 및 수당을 삭감했다.
이러한 노력은 올해 5월이 되서야 결실을 맺었다. 금융위원회가 대주주 변경에 대해 승인하며 대만 유안타증권에 완전히 매각된 것이다.
이후 동양증권은 새 출발을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다. 예전보다 강화된 컴플라이언스 등을 바탕으로 고객의 마음잡기에 나선 것이다.
가장 힘쓰고 있는 부분은 다름 아닌 불완전판매 예방이다. 불완전판매가 동양사태의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적된 만큼 다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동양증권은 불완전판매 예방을 위해 내부통제 기준을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더불어 최근 금융권에서 강화되고 있는 개인정보 유출 예방을 위해서도 대응 메뉴얼을 마련, 시행 중이다.
이러한 내부통제 강화를 바탕으로 영업력 회복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투자설명회도 성황리에 끝냈고 주가연계증권(ELS) 등도 제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동양증권이 ELS 발행을 시작한 지난 8월 이후 ELS 발행 규모는 공모와 사모를 포함해 1250억원으로 집계됐다.
동양증권 관계자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을 고객 신뢰로 두고 영업력 회복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최근 성공적으로 발행되고 있는 ELS 등이 그간의 노력에 대한 평가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뢰 회복 나선 당국과 업계
동양사태 이후 업계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CP와 회사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됐고 회사 내부에서도 준법감시인 제도를 재정비 하는 등 자본시장 전체에 실추된 증권사의 신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진 것이다.
투자부적격 회사채와 CP에 대한 계열사 판매금지는 동양사태 한달뒤인 지난해 10월24일부터 시행됐다. 당초 7월24일부터 시행되기로 했지만 업계 요청에 따라 6개월 뒤로 시행시기가 미뤄진 바 있었다.
금융위는 또 동양그룹 문제 유사사례 재발방지 종합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주요 내용은 금융상품 불완전 판매, 대주주의 계열사 부당지원 등을 금지시키겠다는 것이 골자였다.
개별 회사의 노력도 이어졌다. 올해 초 증권사들은 대표이사의 신년사 등을 통해 올해 최우선 과제로 증권업계의 신뢰회복을 내세웠다.
불완전판매 방지를 위한 회사 내부의 방침도 강화됐고 일부 회사에서는 무조건적인 금융상품 판매를 막기 위한 대책도 생겨났다.
한 증권사 컴플라이언스 담당자는 “내부적으로나 금융당국에서나 불완전판매에 관해 공문들이 수차례 내려왔었다”며 “영업현장에서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예전보다 더 조심스럽게 투자권유가 이루어지기도 한다”고 조심스런 분위기를 전했다.
하지만 당국과 업계의 노력이 모두 제대로 시장에 반영되지 못한 부문도 있었다.
특히 특정금전신탁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특정금전신탁의 최저가입금액을 5000만원 이상으로 올리는 대책은 규제개혁위원회의 반대에 부딪혀 철회됐다.
규제가 무산됨에 따라 특정금전신탁에 또 다시 자금이 몰리고 있다. 특히 최근 기준금리 인하가 결정되면서 투자처를 찾고 있는 자금까지 특정금전신탁으로 유입되고 있다.
이를 두고 동양사태의 여파가 진정되고 있다는 평가도 있지만 일각에서는 또 다시 이같은 사태를 낳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회사채 시장의 한기는 여전하다. 올해 중반 소폭 나아졌던 BBB 이하 등급의 회사채 발행 규모 및 비중은 지난달 다시 올해 최저치로 떨어졌다. 중소기업의 회사채나 보증 발행은 아예 없었다.
일부 소비자들의 불신을 꺾기에도 아직은 시간이 더 필요해 보인다.
지난해 CMA를 해지했다는 한 직장인은 “저금리에 증권사 상품이 매력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은 불안감이 남아있어 가입을 하진 않았다”며 “대형증권사 상품을 훑어보고 있지만 여전히 적금이 제일 안전하다는 생각이다”고 말했다.
박지은 기자 pje88@
관련태그
뉴스웨이 박지은 기자
pje8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