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중개사協 “부동산중개보수 갈등 해결책은 고정요율”

중개사協 “부동산중개보수 갈등 해결책은 고정요율”

등록 2015.02.11 08:43

서승범

  기자

공유

한국공인중개사협회(회장 이해광)는 부동산 중개보수로 인한 공인중개사와 소비자 사이의 갈등과 분쟁을 없애는데 있어서 최상의 해결책은 고정요율이라고 10일 밝혔다.

협회는 지난해부터 국토교통부가 추진해 온 중개보수체계 개편 노력에도 여전히 관계 당사들 사이에 갈등과 분쟁이 끊이지 않는 것은 모순투성이인 상한요율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국토교통부는 고가주택(매매 6억~9억원 미만, 임대차 3억~6억원 미만)의 기존 중개보수 요율을 절반 이상 인하하는 정책을 추진했지만, 중개사들과의 의견 마찰이 계속되고 있다.

협회는 갈등이 지속되는 이유는 국토부가 개편한 중개보수체계에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 협회 측은 소비자보호단체도 부동산중개보수와 관련된 갈등과 분쟁해소를 위해 고정요율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고 전했다.

이런 주장의 근거로 ‘고가 주택 및 주택 이외에 적용되는 합의규정을 고정요율로 변경하는 것에 대해 소비자의 63%가 찬성했다’는 2012년 한국소비자원의 자료를 제시했다.

또 재작년 서울시의 3억원 이상 중개보수 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고가구간의 협의규정으로 인한 민원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협회는 “이런 자료와 사례 등을 간과하다보니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고가주택 중개보수 요율이 상한요율로 또 다시 갈등과 분쟁을 야기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협회는 고정요율은 현재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고 있고, 구간별로 한도가 설정돼 있어 소비자의 부담이 늘지 않으며, 소비자의 협상권과 선택권도 유지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소비자와 공인중개사 간 갈등과 분쟁을 막거나 조정하기 위한 제도가 전혀 없다는 점 등은 부동산 업계의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서승범 기자 seo6100@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