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6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세월호 인양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결론이 나면 실종자 가족과 전문가들의 의견과 여론 수렴해서 선체 인양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세월호 인양은 주로 야권을 중심으로 세월호 대책위와 시민단체 등이 강력히 요구했던 사안으로, 대통령이 직접 나서 전향적인 입장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정부부처와 여당 지도부에서도 이를 곧바로 뒷받침하고 나섰다.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달 중 세월호 인양 여부에 대한 기술검토 태스크포스 작업이 끝나면 공론화 과정을 통해 여론을 수렴할 계획임을 밝혔고,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도 반드시 인양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아직까지 찬반 양론이 충돌하고 있는 세월호 인양 문제에 대해 여권 전체의 무게추가 한 쪽으로 쏠리는 배경에는 다양한 포석이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우선 올해 정치권의 중요 기점인 4월 임시국회에서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이 1차 목표다. 집권 3년차에도 여전히 답보 상태인 각종 경제법안 처리가 절실한 여권으로서는 여론의 향배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상황이다. 더불어 공무원연금 개혁과 노사정 대타협 등의 핵심 과제를 연착륙 시켜야 한다는 압박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오는 29일 열리는 재보궐선거가 처음에 비해 그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이를 의식한 것이란 분석도 있다. 당초 여권에서는 큰 의미를 두지 않은 선거였지만 야권 후보의 난립 등으로 해볼 만 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내년 총선의 전초전으로 급부상한 상황이다.
여권의 한 당직자는 “지난해 참사 당시 무능한 대응으로 적잖은 질타를 받았던 여권으로서는 이번 1주기에 뭐라도 보여줘야 한다는 강박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유능한 경제정당’으로 방향을 잡은 야권에 밀리면 안 된다는 위기감도 작용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창희 기자 allnewone@

뉴스웨이 이창희 기자
allnewon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