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중미 국가들 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시작되며 우리 수출기업들의 해외 시장 진출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최종 타결 시 자동차 및 부품, 휴대전화, 건설자재 등에서 관세 혜택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FTA 협상은 18일(현지시각) 미국 휴스턴에서 개시됐으며 과테말라,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파나마 등 6개국이 참여한다.
코트라(KOTRA)는 최근 발간한 ‘한-중미 FTA 추진과 우리 기업 진출 기회’ 보고서를 통해 자동차 및 부품, 휴대전화, 의약품 및 의료기기, 건설자재, 식·음료품 등이 유망하다고 밝혔다.
특히 자동차 및 부품은 현재 평균 20%대(파나마, 과테말라 제외)의 높은 수입 관세를 적용받고 있어 최대 유망 품목으로 꼽힌다.
휴대전화, 철강 구조물, 아연도금강판 등 건설자재, 편직물 등도 관세 혜택을 얻어 중국산 저가품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또 중미 국가들의 현대화 사업으로 수요가 늘고 있는 의료기기와 한류열풍 인기에 힘입은 식·음료품도 긍정적인 효과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중미 국가들은 적극적인 대외개방정책 추진으로 평균 3% 수준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해외 진출을 모색하는 우리 중소기업의 테스트 마켓으로 적절하다는 평가다.
양은영 코트라 통산지원총괄팀장은 “최근 수출부진으로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FTA가 새로운 시장 진출의 발판이 될 것”이라며 “이들 시장에 맞는 제품개발과 차별화된 서비스 공급이 핵심이다”고 밝혔다.
이승재 기자 russa88@

뉴스웨이 이승재 기자
russa8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