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9일 토요일

  • 서울 29℃

  • 인천 28℃

  • 백령 23℃

  • 춘천 30℃

  • 강릉 27℃

  • 청주 29℃

  • 수원 28℃

  • 안동 29℃

  • 울릉도 23℃

  • 독도 23℃

  • 대전 29℃

  • 전주 27℃

  • 광주 24℃

  • 목포 23℃

  • 여수 23℃

  • 대구 28℃

  • 울산 26℃

  • 창원 26℃

  • 부산 25℃

  • 제주 24℃

야권發 정계개편에 가려진 여권암투

야권發 정계개편에 가려진 여권암투

등록 2015.09.16 09:19

수정 2015.09.16 09:24

조현정

  기자

‘총선 공천권’두고 朴대통령·김무성 대결 불가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박근혜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제공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박근혜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제공


새정치민주연합이 극심한 계파간 내홍을 겪고 있는 가운데 여권도 물밑에선 치열한 암투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다만 아직 상대편의 수를 내다보면서 야권과 달리 드러내놓고 싸우지 않을 뿐이다.

야권발(發) 정계개편이 본격화될 때 여권에서도 몇 가지 ‘신당설’이 제기된 바 있다. 친박계 신당설. 유승민 전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한 중도신당설 등이 대표적이다. 물론 실체는 확인이 되지 않을뿐더러 최근에는 수면 아래로 들어가 버린 상황이다.

신당설은 잦아들었지만 여권 내에선 내년 총선을 두고 세력간 암투를 내다볼 수 있는 상황이 벌어졌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구행과 친박계의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한 시선 등이 그것이다.

박 대통령의 중국 방문 후 지난 7일과 9일 각각 대구와 인천을 찾은 모습이 워낙 달라 여권을 술렁이게 했었다.

현역 의원이 모두 여당 소속인 대구에선 의원 모두에게 행사 초청장을 보내지 않았지만 인천에선 여당 뿐 아니라 야당 의원들도 초대했다. 이 때문에 여권에선 박 대통령이 대구 의원 12명에 대해 ‘아웃’ 판정을 내린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됐다.

또 친박계 핵심인 홍문종 의원은 김무성 대표가 강력 추진하는 ‘오픈 프라이머리’(open primary·완전국민경선제)에 대해 연일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오픈 프라이머리, 더 나아가 김 대표를 바라보는 친박계의 입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2017년 대선의 주인공이 되고자 하는 김 대표는 “정치개혁을 하려면 공천개혁을 해야 하고 정당민주주의의 요체는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는 것”이라며 오픈 프라이머리를 강력 추진 중이다.

정치권에선 김 대표가 오픈 프라이머리를 주장하고 있는 그 속내에는 대권 행보의 디딤돌로 활용하려는 의도라고 보고 있다. 내년 총선에서 청와대의 공천 관여를 막기 위해 오픈 프라이머리를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친박계가 지난 18대 총선에서 학살에 가까운 수난을 당한 바 있기에 김무성식 공천에 두려움을 떨 수밖에 없어 이를 저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데 홍 의원의 행보는 이를 위한 서막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정치권의 고질적인 ‘구조 문제’를 볼 때도 여권의 내홍은 필연적이다.

현직 대통령은 임기 후반 힘이 빠지는 레임덕을 막고 임기가 끝난 이후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추구할 수밖에 없다. 그것은 교섭단체 구성요건인 국회의원 의석 20석이다. 친박 진영이라는 울타리를 이탈하지 않을 인사로 최소 20명 이상 확보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를 위해선 새누리당의 총선 공천에 관여해야 한다.

여론에 유동적이지 않고 박 대통령에게 변함없는 지지세를 보여줄 곳은 TK(대구·경북) 지역이다. 공교롭게도 박 대통령이 대구 지역을 찾으면서 12명의 의원들을 초대하지 않았다. 대구를 중심으로 공천권에 관여하겠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에 맞서 비박계 김 대표는 대선을 위해 새로운 판을 만들어야 한다. 어떻게 짜일지 모르는 대선 경선 구도에서 자신을 위해 발 벗고 나서야 할 인력들을 곳곳에 배치해야 한다. 그는 새로운 권력 질서를 만들어야 할 오픈 프라이머리를 무기로 내세웠다.

벌써부터 양측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의미심장한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갑작스럽게 김 대표 사위의 마약복용 전력과 솜방망이 처벌 의혹이 터졌다. 김 대표는 이번 사건으로 대선주자로서 어느 정도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많다. 오픈 프라이머리로 내년 총선 밑그림을 그리고 있고 이는 대권주자로서의 입지와 맞물려 있다.

특히 김 대표 사위의 마약사건이 판결 7개월이 지나서야 공개됐는데 일각에선 총선 공천권을 놓고 김 대표의 의지를 꺾기 위해 의도적으로 언론에 흘린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청와대를 위시한 친박계, 그리고 비박계의 ‘공천 전쟁’은 야권의 내홍에 가려졌지만 언젠가는 터질 시한폭탄으로 현 정치 구도에 어떻게 작용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조현정 기자 jhj@

뉴스웨이 조현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