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1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올라도, 내려도 걱정···국제유가에 ‘울고 웃고’

올라도, 내려도 걱정···국제유가에 ‘울고 웃고’

등록 2016.10.14 10:06

현상철

  기자

공유

저유가 유지돼다 어느덧 50달러대80달러선 넘어서면 韓경제 부담 될 듯출렁이는 변동성이 가장 큰 리스크

사진 = pixabay사진 = pixabay

국제유가가 어느덧 50달러 선을 넘어섰다. 올 초 30달러가 붕괴되기도 한 국제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생산량 감축·동결 등의 논의가 진행될 때마다 출렁이더니 최근 회원국들의 감산 잠정 합의로 50달러 선을 넘어섰다. 사실상 우리나라 수출부진에 영향을 준 요인이라는 점에서 정부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지만, 정작 국제유가는 너무 올라도, 너무 내려도 우리에게 하방요인으로 작용한다.

14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11월 인도분은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0.5% 오른 50.44달러다. 두바이유는 50달러에 근접한 49.07달러다.

국제유가의 상승은 우리경제에 현재로서는 반가운 소식이다. 저유가로 수출단가가 하락해 수출액이 감소하면서 사상 초유의 수출부진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물량보다 수출액 기준으로 산정되는 수출실적에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한 물건값 인상은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유가 상승이 국내 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라는 점도 저물가를 걱정하고 있는 우리경제에 희소식으로 자리할 수 있다.

반대로 급격한 반등이나 높은 수준의 유가 상황이 펼쳐지면 기초산업이나 유화업체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원가가 올라 채산성이 오르면 그만큼 손에 남는 게 적어진다는 얘기다. 또 휘발유 값 급등과 난방요금 인상 등을 야기하기 때문에 서민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유가 영향을 크게 받는 유화업체의 경우는 저유가가 다소 반가운 소식이지만, 단순한 유가보다 변동성에 더 큰 취약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유가가 100달러 선이라 할지라도 유가만큼 높은 물건값을 받을 수 있어 큰 무리는 아니지만, 갑자기 80~90달러대로 하락하면 재고손실 등의 이유로 적자를 낼 수 있다.

저유가 때에는 물건값이 낮더라도 채산성이 높아져 이익을 낼 수 있다. 40달러 대가 유지되던 올해 상반기 SK이노베이션이 2조원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낸 게 대표적이다.

기대처럼 유지되지 않는 게 국제유가지만, 희망하는 가격대는 존재한다. 전문가들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60달러 대 수준이 적정한 것으로 평가된다. 현재 국제유가가 10달러 정도 오르면 ‘국제유가 리스크’가 다소 해소됐다고 볼 수 있는 셈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80~90달러 선이 된다면 석유화학 등 유화업계에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주력 수출품목인 만큼 수출부문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