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달 회원국들의 소비자신뢰지수(CCI)는 지난달(98.81)보다 소폭 증가한 99.06이다. CCI는 향후 6개월 내 각국의 소비자 경기를 전망한 것으로 100 이상이면 호황, 100 이하면 침체를 의미한다.
한국의 CCI는 올해 1월 98.7포인트로 2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같은 오름세에도 지난달 한국의 CCI는 OECD 32개국 중 30위수준이다. 지난달 기준으로 한국보다 CCI가 낮은 OECD 국가는 터키(96.76)와 그리스(96.34)밖에 없다. 또 OECD 평균인 100.56포인트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한국의 CCI가 낮은 것은 지난해 구조조정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큰 폭으로 떨어진 탓이다. 지난해 8월 100.09였던 한국의 CCI는 5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바닥을 쳤다. 특히 지난 1월에는 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지난 2월 소매판매가 넉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하고 3월 소비 속보지표도 1년 전보다 대부분 증가했지만 이는 3개월 연속 감소한 것에 대한 기계적 반등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소비가 살아나지 못하는 것은 소비 활성화 정책이 아직 나오지 않은 것도 이유다. 또 경기불황으로 인한 소득 정체도 소비침체의 가장 큰 문제다. 지난해 가계의 월평균 명목 소득은 전년보다 0.6% 증가했는데 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후 최저치다. 또 13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도 큰 영향을 끼쳤다.
소비심리를 살리려면 단기적인 진작책보다 구조적인 해법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일시적인 소비 활성화 대책보다는 좀 더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JHCHU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