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7일 수요일

  • 서울 -1℃

  • 인천 -1℃

  • 백령 -1℃

  • 춘천 1℃

  • 강릉 2℃

  • 청주 1℃

  • 수원 1℃

  • 안동 1℃

  • 울릉도 9℃

  • 독도 9℃

  • 대전 3℃

  • 전주 5℃

  • 광주 5℃

  • 목포 6℃

  • 여수 5℃

  • 대구 6℃

  • 울산 5℃

  • 창원 5℃

  • 부산 7℃

  • 제주 9℃

“올해 농업생산액 작년보다 0.8% 증가, 농가소득도 2.4% 증가 전망”

“올해 농업생산액 작년보다 0.8% 증가, 농가소득도 2.4% 증가 전망”

등록 2018.01.24 16:00

강기운

  기자

공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18’ 보고서 통해 발표

2018년 농업생산액은 전년比 0.8% 증가한 48조 9,68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은 오전 9시 30분부터 롯데호텔 3층 크리스탈볼룸(서울 송파구 잠실동)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농업‧농촌의 미래’라는 주제로 2018 농업전망 대회를 개최, 이같이 전망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은 24일 ‘국민과 함께하는 농업‧농촌의 미래’라는 주제로 2018 농업전망 대회를 개최했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은 24일 ‘국민과 함께하는 농업‧농촌의 미래’라는 주제로 2018 농업전망 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전망대회에서 재배업 생산액 4.0% 증가한 29조 4,560억 원 전망되나, 생산조정제에 따른 쌀 생산량 감소(쌀 재배면적 5만 ha 감소) 및 두류·서류 가격 하락으로 곡물류 생산액 4.0% 감소, 채소류 및 과실류 생산액 증가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채소류 10.4%, 과실류 5.6%, 특용·약용작물은 1.9% 증가한 반면 쌀은 3.5%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축잠업 생산액은 산란계, 오리, 육계의 AI 여파 회복에 따른 생산증가 및 가격하락으로 3.7% 감소한 19조 5,130억 원 전망하고, 돼지, 계란 생산액 감소 전망했다.

쌀 생산조정제 시행 영향으로 쌀 공급과잉구조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선제적인 시장격리 물량(71만 1천 톤) 확대 발표로 2017년산 수확기 가격이 전년대비 18.0% 상승으로 2017년 쌀 생산액(6조 9,530억 원)은 전년보다 8.8%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

생산조정제 시행에 따른 가격상승으로 정부 재정부담(변동직불금)은 완화되고 농가수취액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동물복지형 산란계 사육밀도 조정으로 계란값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8년 산란계 사육마릿수 112만 마리 감축 시(1.5% 감소), 계란가격 5.2%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동물복지를 위해 사육밀도 조정(0.05m2 → 0.075m2) 의무화를 2018년 신규허가농가에 적용하고, 2025년에는 기존 농가 의무화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농가인구는 2.1% 감소한 239만 명(2017년 △2.0%), 농가호수는 1.0% 감소한 105만 호 전망(2017년 △1.0%)했다.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도 전년比 1.0%p 증가한 42.2% 예상되어 고령화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호당 농가소득은 전년比 2.4% 증가하여 3,969만 원 내외로 전망하고, 농업소득은 감소하여 농가소득에서 비중 25.5%로 작년比 3.1%p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농업경영비 증가(전년比 3.5% 증가)로 2018년 농업소득 전년比 8.7% 감소한 1,014만 원 내외로 전망되며,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 비중은 하락세가 지속(17년 28.7%→ 18년 25.5%)될 것으로 전망했다.

도시근로자 가구소득 대비 농가소득 비중은 하락세가 지속되며, 2018년 62.9%로 전년比 0.9%p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함께 FTA 영향 및 원화강세로 수입 증가세가 지속된 반면, 수출여건 악화로 농축산물 무역수지 적자폭의 확대가 전망(전년比 5.2% 악화된 197.9억 달러)됐다.

수입액은 원화가치 상승 및 FTA영향으로 수입량 증가되어 전년比 4.4% 증가한 263억 달러 수준으로 전망하고, 특히, 곡물, 오렌지 및 열대과일 중심으로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수출액은 원화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및 보호무역주의로 수출증가세가 둔화되어 전년比 1.9% 증가에 그친 65.1억 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 전통적인 쌀, 김치 소비는 감소하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육류 소비는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쌀을 포함한 곡물 소비량은 연평균 1.6%감소하여 1997년 1인당 185.7kg(쌀 99.2kg)에서 2018년 133.7kg(쌀 57.5kg)으로, 김치 재료인 5대 채소(배추, 무, 고추, 마늘, 양파)는 연평균 0.9% 감소하여 1997년 1인당 120.5kg에서 2018년 113.5kg으로 전망했다.
전체 과일소비는 연평균 0.2% 증가하여 1997년 1인당 54.2kg에서 2018년 57.9kg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6대 과일 소비량은 연평균 0.9% 감소하였으나, 오렌지 및 열대수입과일은 연평균 6.2% 증가하여 전통적인 6대 과일 소비를 대체되고 있다.

특히 육류의 1인당 소비량은 1997년 29.1kg에서 2018년 50.2kg으로 연평균 2.8%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재배업 수익률 감소세로 2018년 경지면적은 전년比 1.1% 감소한 159.9만 ha 수준으로 전망됐다.

농가호당 경지면적은 전년比 0.2% 감소하고, 농가인구 1인당 경지면적은 1.0%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농촌 고령화 및 FTA 영향에 따른 수입농산물 국내시장 잠식, 농가교역조건 악화에 따른 농업소득 감소, 농지전용수요 증가로 경지면적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7년에는 150.6만 ha로 전망했다.

가축 사육마릿수는 전년比 9.0% 증가한 186.2백만 마리로 전망됐다.

우제류 사육마릿수는 전년 대비 2.2% 증가한 14.0백만 마리로 전망했다. 소 사육마릿수는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 및 가격 상승으로 전년比 1.3% 증가하나, 젖소 1.0% 감소하고, 돼지는 전년比 2.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금류는 산란계·오리 사육마릿수 회복되어, 사육마릿수 전년比 9.6% 증가한 172.2백만 마리로 전망된다.

한편, 농축산물 시장개방 확대, 농업생산액 증가 정체로 식량자급률 하락세는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곡물류 자급률(사료용 제외)은 1997년 이후 연평균 0.4%p 하락(2017년 50.9%)하고, 육류 자급률은 국내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입량 증가로 연평균 0.8%p 하락(2017년 67.1%)했다.

2018년도엔 곡물류 자급률은 전년比 4.2%p 하락한 46.7%로 전망되고, 육류자급률 생산량 증가 및 수입량 감소로 전년比 1.5%p 상승한 68.6% 전망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