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남경필 경기도지사 “버스준공영제, 7월 버스운행 축소에 대한 최우선 대안”

남경필 경기도지사 “버스준공영제, 7월 버스운행 축소에 대한 최우선 대안”

등록 2018.04.23 22:59

주성남

  기자

공유

남경필 경기도지사.남경필 경기도지사.

경기도는 오는 7월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근로시간이 단축돼 버스 운전자가 부족할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도내 버스업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현재 인력의 41% 수준의 추가인력 충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또 7월 전까지 채용 가능한 인원은 추가 필요인력의 15%밖에 안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도내 버스업체의 79%는 운수종사자의 근로시간 단축에 상응하는 만큼 임금감소가 있을 것으로 응답했다. 줄어드는 임금수준은 현 임금의 평균 22% 정도인 것으로 조사됐다. 종사자들의 실질적인 소득감소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

버스업체의 95%는 △감회(90%) △감차(86%) △첫차․막차시간 조정(84%) △노선단축(74%) △폐선(72%) 순으로 노선운영 변경을 고려하고 있었다. 그 규모는 전체 운행대수의 평균 45% 수준인 것으로 추정돼 7월 이후 도민들의 교통불편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개정된 근로기준법 시행에 대한 지원대책으로, 88%의 버스업체가 정부와 지자체가 ‘버스준공영제를 우선적으로 추진해줄 것’을 바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밖에 ‘요금인상’(12%), ‘운수 종사자 양성 확대’(9%) 등의 의견도 제시됐다.

한편,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운수종사자가 서울·인천 등 버스준공영제 시행 지자체 등에 이직하는 문제도 심각했다. 업체의 84%가 이직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고 답했고, 경력자들이 이직하는 이유로 ‘낮은 급여’(94%)를 주로 지적했다.

이번 조사는 4월 18일부터 19일까지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도내 버스업체를 대상으로 전수조사 방식으로 실시했다. 총 69개 사업체 중 58개업체가 조사에 응했으며 응답률은 84%다.

남경필 도지사는 “근로기준법이 시행되는 7월 이후 도민들의 교통불편이 대단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경기도의 버스준공영제는 도민들의 편리하고 안전한 버스이용을 보장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으로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성남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