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국거래소 “남북경협주, 영업실적 저조하고 당기순이익 적자인 기업 많아”

한국거래소 “남북경협주, 영업실적 저조하고 당기순이익 적자인 기업 많아”

등록 2018.06.07 14:42

장가람

  기자

공유

중소형주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개인 투자자 비중 89%로 대다수

(자료-한국거래소 제공)(자료-한국거래소 제공)

남북경협주 분석 결과 대다수 기업이 영업실적이 저조하고 당기순이익이 적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7일 한국거래소는 최근 남북정상회담 개최 등 남북관계 진전에 따라 남북경협테마주의 주가가 급등락하는 현상이 지속돼 관련 테마주 주가 및 영업실적 등을 비교한 결과 남북경협주의 평균 영업이익은 98억원(2017년 결산 기준)으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평균 영업이익의 14.4%에 불과한 수치이며, 당기순이익은 평균 138억원의 적자로 나타났다.

남북경협테마주는 올해 초부터 남북관계 진전에 따라 주가가 상승하기 시작해, 남북정상회담 이후 급등세를 보였다. 실제 시장전체 지수는 지난 달 15일 기준 101포인트에 불과하나 경협테마주는 207포인트까지 뛰어올랐다.

거래소에 따르면 남북경혐 테마주의 1사당 평균 시가총액은 2703억원으로 시장 전체 1사당 평균 시가총액인 8934억원의 30.3% 수준이다. 이는 대형주보다 중소형주 중심으로 남북경협 테마주가 형성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투자자 비중 역시 개인투자자가 89%를 차지하며 시장 전체 78.8% 보다 10.2%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비중은 10.4%에 불과 시장전체인 20.1% 대비 절반 수준이 불과했다.

하루 중 주가 변동성은 5.4%로 시장 전체 3.3% 보다 2.1% 높게 나타났다. 5월의 경우 남북경협테마주의 주가 변동성이 9.7%까지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일평균 VI발동 횟수도 12.9건으로 전체 VI발동횟수 160.1건의 8.1%를 차지했다. VI란 주가 변동성이 확대될 때 일정 시간 동안 단일가매매로 전환되는 것을 말한다.

아울러 테마주 종목수가 전체 2.9% 수준이나 시장경보 발동 횟수는 시장 전체의 14.9%로 집계, 남북경협테마주의 시장경보 발동 비중이 높았다.

이에 대해 거래소 측은 “남북경협테마주는 대기업보다 중소형기업으로 평선되는 경향이 있으며 개인투자자 비중이 90% 내외로 매우 높아 과도한 투기적 수요 유입에 따른 뇌동매매로 주가 급등락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용융자 비중이 높아 주가 하락 때 반대매매로 주가 하락이 가속화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거래소는 “실질 남북경협 수혜주인지 여부에 대해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며 막연한 기대심리에 편승하기 보다는 향후 기업 실적이 뒷받침될 수 있는지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해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뉴스웨이 장가람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