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30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윤재승 회장 욕설 파문···매출 1兆클럽 경고등

윤재승 회장 욕설 파문···매출 1兆클럽 경고등

등록 2018.08.28 16:52

이한울

  기자

공유

상반기 매출 5010억 순항 중 갑질 논란대표제품 우루사 불매 움직임 확산 조짐혁신형 제약기업 취소 땐 수익에 치명적

대웅제약 갑질 논란.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대웅제약 갑질 논란.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

윤재승 회장의 폭언 논란으로 불거진 오너리스크가 순항 중이던 대웅제약의 1조 클럽 계획에 발목을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 상반기 대웅제약의 매출은 501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6.3% 늘어난 수치다. 작년 한 해 매출은 9603억원으로 올해는 매출 1조원을 넘길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그러나 윤 회장의 욕설파문으로 관련제품의 불매운동이 확산한다면 매출에 큰 타격을 입게된다. 매출 1조클럽 가입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의미다.

제약업계에서는 윤 회장의 폭언파문으로 매출 감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루사 불매운동 등 부정적인 여론이 들끓고 있고 윤 회장의 빠른 사퇴에도 여론은 쉽게 진정되지 않고 있어서다. 27일 폭언 논란이 보도된 후 대웅제약의 시가 총액도 2조2536억원으로 전 거래일(24일)대비 523억이 사라졌다.

윤 회장은 책임을 지고 대웅 대표이사 및 등기임원(이사), 대웅제약의 등기임원(이사) 직위에서 모두 물러나겠다고 밝혔지만 여론은 쉽사리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대웅제약이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까지 취소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면서 수익악화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시각도 팽배하다. 이는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오너나 CEO 등이 갑질로 도덕적인 문제 등을 일으킬 경우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을 취소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했기 때문. 실제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개정안에 따르면 상법상 등기이사나 감사를 맡고 있는 자가 횡형, 배임, 주가조작, 폭행, 폭언, 성범죄를 저질러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으면 혁신형 제약기업의 재인증을 제한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혁신형 제약기업 제도는 제약사의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약가 우대 등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다. 대웅제약은 지난 6월 3년간 인증이 연장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윤 회장의 욕설 등 폭언이 도덕적인 지탄을 받을수는 있지만 벌금형 이상으로 처벌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석이다. 윤 회장의 갑질과 관련해 추가 폭로가 없고, 대표 제품인 우루사 등의 불매운동이 빠르게 진화된다면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이미 지난 3월부터 전문경영인 체제로 돌아가고 있어 이번 논란이 대웅제약 매출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이한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