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선기간 종료 3개월 남아···새주인 퀀텀컨소 연말 증자 후 감자 단행···자본금 16분의 1로감자 뒤 추가 증자 ‘극약처방’ 나설 가능성도
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바른전자는 지난해 12월 우선인수자로 퀀텀투자컨소시엄을 낙점했다. 당초 바른전자는 우선인수자를 선정한 뒤 원매자를 대상으로 추가 공개입찰을 진행했으나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곳이 없어 퀀텀컨소시엄이 인수자가 됐다.
컨소시엄 주인수자인 퀀텀투자조합은 유상증자(250억원)와 CB 발행(60억원) 등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약 300억원의 인수대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대주주가 바뀐 바른전자는 이후 유상증자와 감자를 단행했다. 12월 27일 공시를 통해 제3자배정증자 방식으로 각각 93억원과 25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진행했다.
이후 무상소각을 통한 감자를 진행해 자본금을 기존 99억원에서 7억원 규모로 감소시켰다. 감자 기준일은 2019년 12월 26일이다.
바른전자는 1998년 설립된 메모리 반도체 후공정 제조 전문업체다. 반도체 여러 칩을 하나로 묶어 단일 종합 메모리로 만드는 패키지형 시스템(SIP) 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후공정 과정을 통해 스마트폰용 메모리반도체인 낸드플래시 카드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모듈 등을 제작 중이다.
바른전자는 2002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뒤 국내 벤처 1세대로 불리는 김태섭 회장을 수장으로 맞아 전성기를 맞았다. 2000년 매출 58억원, 영업이익 1250만원에 불과했던 회사는 2015년 매출 2555억원, 영업이익 56억원으로 정점을 찍었다.
공교롭게도 바른전자의 성장세를 꺾은 건 김 회장이었다. 김 회장은 2015~2016년 당시 중국 정부가 회사에 투자한다는 거짓 정보로 주가를 조작하고 200억원대 횡령·배임을 한 혐의로 구속됐다. 해당 사실이 2018년 12월 알려지며 주가는 급락했다. 162억원 규모로 진행 중이던 유상증자도 중단됐고 주권매매 거래가 정지됐다.
그 사이 바른전자 재무제표는 빠르게 악화됐다. 2016년 2416억원 수준이던 매출은 2017년 1685억원, 2018년 930억원, 지난해 3분기까지 353억원 규모로 쪼그라들었다. 영업적자 역시 지속돼 2017년 195억원, 2018년 229억원, 지난해 3분기까지 87억원의 영업손실을 각각 기록했다.
바른전자는 지난해 3월 대표이사 변경, 4월과 7월 각각 감자를 단행하는 강수를 뒀다. 6월에는 사세 확장의 중심이던 바른테크놀로지 지분도 매각하며 재무구조 개선에 나섰지만 결국 자본잠식 상태를 벗어나진 못했다.
지난해 8월에는 최근 3사업연도 중 2사업연도에서 자본잠식률 50%를 넘은데다, 반기감사의견 거절로 상장폐지 대상에 올랐다. 해당 사안에 대해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위원회는 지난해 9월 심의 끝에 개선기간을 부여했다. 개선기간은 오는 4월 9일까지다.
현재 바른전자는 2차례 감자를 통해 자본금을 16분의 1 수준으로 줄인 상태다. 감자를 진행하면 자본금을 줄인 만큼 자본잉여금으로 넘길 수 있어 결손금을 없앨 수 있다. 감자 이전과 자본총계는 동일하지만 자본금이 줄어들면서 자본잠식에서 벗어날 수 있는 구조다.
일각에서는 바른전자가 ‘감자 후 증자’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한다. 감자 후 유상증자를 진행하면 자본잉여금을 더 늘릴 수 있어 재무구조 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2014년 코오롱글로벌과 2016년 아큐픽스, 갑을메탈 등 재무구조 개선에 나선 상장사들이 흔히 이용하는 방법이다.
IB업계 관계자는 “재무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 중 감자 후 증자를 단행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 경우 투자자 입장에선 보유 주식수가 감소하는 피해를 입을 수 있어 투자 유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허지은 기자
hur@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