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CJ ENM 미디어·콘텐츠 동맹···제작·편성·유통 전방위 협력 스튜디오지니, KT 중간지주사격···오픈플랫폼 성과 가시화SKT 진영 '웨이브', 티빙과 점유율 박빙···시장 경쟁 예고LGU+ OTT 유명무실···황현식 대표 "입장 선회 방향성 고민"
◇KT-CJ ENM 미디어·콘텐츠 동맹 = KT는 지난 21일 CJ ENM과 콘텐츠 사업 협력을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 협력의 ▲KT스튜디오지니에 대한 CJ ENM의 1000억원 투자 ▲KT스튜디오지니가 제작한 콘텐츠 구매 및 채널 편성 ▲양사의 콘텐츠 공동제작 등을 골자로 한다.
KT스튜디오지니는 이번 CJ ENM과의 전략적 제휴 과정에서 기업가치를 1조원 이상으로 추산해 10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KT스튜디오지니는 원천 지적재산권(IP) 확보와 역량 있는 제작사 인수 및 지분투자에 나설 계획이다.
양사는 또 콘텐츠 공동제작에도 나선다. 공동제작을 통해 '제2의 오징어게임'처럼 글로벌 대작을 만들겠다는 목표다. 또 KT스튜디오지니가 제작한 오리지널 콘텐츠 중 일정 물량을 CJ ENM이 구매해 tvN과 티빙 등 CJ ENM 보유 채널에 편성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KT와 CJ ENM은 미디어·콘텐츠 사업 전반에 걸쳐 양사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협력위원회를 조직한다. 콘텐츠, 음악, 웹소설·웹툰 등 각 사업분야별 양사 주요 경영진이 대표위원으로 직접 참여해 공동사업 아이템을 발굴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KT는 지난 3월 스튜디오지니를 독립법인으로 출범시키고 산하에 스토리위즈, OTT 서비스 시즌, 지니뮤직 등을 배치했다. 또 KT스카이라이프, KT알파 등 계열사와 함께 시너지도 꾀했다. 사실상 KT그룹의 미디어, 콘텐츠 분야의 중간지주사격을 담당하는 셈이다. 이를 통해 KT 콘텐츠의 제작, 이익,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다.
당시 KT는 'With KT' 청사진을 내세우고 국내외 제작사는 물론 OTT 플랫폼 사업자와의 협력을 도모하는 오픈 플랫폼 전략을 취했다. KT가 보유한 IPTV 가입자를 기반으로 한 미디어 영향력에 콘텐츠 제작 협력까지 나서 상호 윈-윈 개방적 협력을 추진하겠다는 전략이었다. 이번 CJ ENM과의 협업 추진도 이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넷플릭스 60% 선두···토종OTT 경쟁 치열 = 국내 OTT 시장은 글로벌 사업자의 독주 속에서 토종 OTT 기업이 고분군투하고 있는 형국이다. 데이터융복합·소비자리서치 전문 연구기관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OTT 유료이용자 순위는 넷플릭스가 60%로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유튜브프리미엄이 25%로 2위를 차지했다.
토종 OTT 가운데에는 티빙이 전년(2020년, 10%)에 비해 2배 가량 상승한 18%의 점유율로 3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웨이브는 17%, 쿠팡플레이와 디즈니플러스는 12%로 공동 5위를 차지했다.
KT와 CJ ENM의 이번 협력으로 인해 국내 OTT 시장의 지형변화가 예상된다. KT-CJ ENM(티빙) 진영은 경쟁력 있는 IP를 확보해 몸집을 불려 글로벌 사업자에 대응하는 한편, SK텔레콤의 웨이브 진영과의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전맹이다. 일각에선 주요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합종연횡이 활발해지는 방향으로 사업자 간 통합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티빙과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또 다른 토종OTT의 한 축인 웨이브는 2019년 SK텔레콤의 OTT 서비스 '옥수수'와 지상파 3사의 '푹'을 통합해 출범한 서비스다. 현재는 SK의 투자전문회사 SK스퀘어에 편입됐다.
웨이브는 올해 800억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해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한다. 2025년까지 총 1조원의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그간 독자적인 OTT 서비스보다는 IPTV에 방점을 두고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최근 노선을 변경하고 OTT 사업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스페인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2'에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는 "자체 OTT를 하지 않고 제휴 전략을 하겠다고 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제휴로 커버할 영역이 적고, 이와 별개로 한국 콘텐츠에 대한 고객 니즈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자체적으로 가입자 수와 오리지널 콘텐츠로 수익의 선순환적 구조를 만들기 힘들어 보인다"며 "그럼에도 U+모바일TV가 변화할 필요는 있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구현 방식은 콘텐츠 전략과 묶어서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김수민 기자
k8silver@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