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3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오피니언 5G 중간요금제 딜레마, SKT 답은 '비스포크'

오피니언 기자수첩

5G 중간요금제 딜레마, SKT 답은 '비스포크'

등록 2023.03.23 15:58

임재덕

  기자

공유

reporter
비스포크(Bespoke):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맞춤으로 생산하는 일. 기성 제품처럼 동일하게 대량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 생산한다. -국어사전 발췌

수년 전 삼성전자는 맞춤형 가전 '비스포크'라는 브랜드로, 국내 가전시장에 파란을 일으켰다. 가전제품 외부 패널 소재와 색상을 고객이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소한 변화지만, 소비자들은 열광했다. 스테인레스 재질, 은색으로 도배된 가전시장에서 내 개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가전'은 금세 업계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가전은 LG'라고 자부하는 LG전자도 이 흐름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이런 비스포크 열풍이 새해 통신업계에도 불 전망이다. 업계 큰형인 SK텔레콤이 고객 설계형 '5G 중간요금제' 카드를 꺼내든 결과다. 로직은 심플하다. 지난해 8월 출시한 5G 중간요금제 '베이직플러스'(월 5만9000원)를 기본으로 하되, 추가 데이터 옵션 4종 중 고객이 원하는 하나를 조합해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선택 가능한 옵션은 ▲3000원(+13GB) ▲5000원(+30GB) ▲7000원(+50GB) ▲9000원(+75GB)로, 총 4종류다.

SK텔레콤 설계형 5G 중간요금제. 사진=SK텔레콤 제공SK텔레콤 설계형 5G 중간요금제. 사진=SK텔레콤 제공

예를 들어 월 데이터 사용량이 평균 50GB정도 되는 고객은 월 5만9000원 베이직플러스 요금제에 5000원을 추가해 데이터 54GB(24GB+30GB)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고객이 원하는 시점에 옵션을 일회성으로 선택(월 기준)하거나, 특정 옵션을 매월 자동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사용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달엔 5000원짜리 옵션을 적용하고, 그 다음달 다시 3000원짜리로 돌려 사용량에 맞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해지는 셈이다.

SKT 내부에선 새 5G 중간요금제를 준비하면서 많은 고민이 있었다고 한다. 새로 준비해야 할 데이터 구간(24~110GB)의 들쑥날쑥한 사용량과 패턴 탓이다. 한 관계자는 "5G 서비스를 제공한 약 4년간 데이터를 보니, 이 구간은 특히나 사용량과 패턴이 너무 다양했다"면서 "기존과 같은 정률화된 요금제로는 모든 고객을 만족시킬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고민 끝에 나온 답이 '비스포크'다. "차라리 그달 쓸 데이터량을 고객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자"는 내부 의견이 나온 뒤, 일사천리로 진행됐다는 후문이다. 새 요금제 도입으로 고가 요금제 가입자의 이탈과 함께 발생할 일부 손실은 감내하기로 했다.

SKT 5G 중간요금제 '비스포크' 버전이 시장에서 어떤 결과를 낼지는 지켜봐야 한다. 지난해 처음 선보인 28GB 구간처럼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매출을 일부 포기하면서까지 고객 요청대로 데이터 구간대별 촘촘한 요금제를 완성했고, 다양한 옵션을 넣어 가계통신비 절감에 앞장선 모습은 칭찬받아 마땅하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