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변동성 안정적 흐름···타국가 비해 낮은 수준금융개방도 및 환율제도 유연성 높은 영향다만 최근 높은 변동성은 무역수지 적자 지속 영향도
한은은 8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지난해 3월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시작된 이후 주요 선진국·신흥국 환율이 큰 폭의 오르내림을 반복하는 가운데 그간 미 달러화 지수(DXY)와 높은 동행성을 보여온 원/달러 환율은 DXY 지수와 상당폭 괴리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에서는 "원화 환율의 변동성(전일대비 환율 변화율의 월중 표준편차)은 지난해 3월 이후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으며 원화 환율 변화율(전월 말 대비 당월 말 환율의 변화율)도 지난해 하반기 이후 큰 폭으로 확대됐다"면서 "글로벌 금융위기(GFC) 이후 원화 환율 변동성은 장기평균(2010.1~2023.4월, 0.5%p)을 중심으로 좁은 범위에서 등락했지만 미 연준이 금리인상을 시작한 지난해 3월 이후 장기평균을 지속적으로 상회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원화 환율 변동성의 장기평균(0.5%p)은 주요 34개국 평균치 0.62%p 및 중간값인 0.58%p보다 낮은 수준으로 이들 가운데 20위를 기록했다. 대부분의 선진국 및 남미 신흥국들보다는 변동성이 낮지만 중국, 대만, 태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에 비해서는 높았다.
보고서는 "주요 선진국 및 신흥국(총 31개국)을 대상으로 패널분석을 수행한 결과, 금융개방도 및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이 높을수록, 환율제도가 유연할수록, 달러화 유동성이 낮을수록 환율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환율 변동성이 금융개방도가 높은 선진국에서 상대적으로 큰 반면, 자본통제가 강하고 경직적인 환율제도를 채택한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작게 나타난다는 경험적 사실에 부합한다는게 한은의 분석이다.
다만 지난해 8월 이후 올해 초까지 미 달러화가 강세와 약세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원화의 환율 변화율은 다른 통화의 평균치를 상당폭 상회하는 등 34개국 중 가장 높은 절하율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 우려를 사기도 했다.
한은은 대외부문 변수를 내생변수로 설정하고 VTX를 외생변수로 설정한 이를 VAR-X 모형으로 확대 배경을 추정한 결과 내외금리차 및 무역수지 충격은 원화 환율에 음(-)의 방향(절상)으로, CDS프리미엄은 양(+)의 방향(절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 시차를 보면 내외금리차 및 CDS충격은 당월에, 무역수지 충격은 1개월의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쳤다.
결국 올해 2월 중 원화 환율 상승폭의 40%는 무역수지 충격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모형에 포함되지 않은 연준의 긴축기조 강화 예상도 절하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했다.
한은은 "우리나라가 동아시아 국가에 비해 금융개방도 및 환율제도의 유연성이 높고 선진국보다는 금융개방도가 낮아 원화 환율 변동성은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왔다"면서 "최근 들어 원화 환율 변화율이 높은 모습을 보인 것은 무역수지 적자 등 국내 요인에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han3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