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유통·바이오 한국로슈진단, 알츠하이머병 뇌척수액 분석 검사 허가

유통·바이오 제약·바이오

한국로슈진단, 알츠하이머병 뇌척수액 분석 검사 허가

등록 2023.07.26 11:12

유수인

  기자

공유

한국로슈진단의 알츠하이머병 뇌척수액 분석 검사법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사진=한국로슈진단 제공한국로슈진단의 알츠하이머병 뇌척수액 분석 검사법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사진=한국로슈진단 제공

한국로슈진단은 자사의 '일렉시스 β-Amyloid(1-42) CSF II'(이하 Abeta42)와 '일렉시스 Phospho-Tau(181P) CSF'(이하 pTau181) 분석 검사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이 검사는 지난해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은 바 있다.

해당 검사법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Abeta42 및 pTau181 단백질을 측정하고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인지장애 진단에 도움을 주는 뇌척수액(CSF) 분석에 활용하는 검사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조직에 축적되는 베타-아밀로이드 및 타우 단백질을 바이오마커로 해 인지장애 진단을 도울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대한 적시 진단을 돕고 치료 방향에 대한 의료진의 임상적 의사 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 질환이다. 뇌에 아밀로이드판 등 이상 단백질이 쌓이면서 서서히 뇌세포가 파괴되고 뇌조직이 줄어들며 뇌기능을 상실한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치매 추정 환자 약 93만 5000명 중 70%가량이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진단에는 신경심리검사, 혈액검사, 뇌파 및 뇌영상 검사, 유전학적 검사 등이 시행되고 있으나, 정확한 진단 결과를 확인하기까지 수년이 걸릴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특성상 한 번 손상된 뇌기능은 다시 회복할 수 없기 때문에 조기 단계에 신속한 진단을 통해 최대한 빠르게 치료와 관리를 시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활발히 개발 및 사용되고 있는 알츠하이머병 원인 조절 치료제(DMT)의 경우 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조기 단계에서의 정확한 진단이 병행돼야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간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에는 아밀로이드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가 활용되고 있었으나, 특정 바이오마커를 사용해 병리학적 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로슈진단의 일렉시스 Abeta42 및 pTau181 분석 검사의 등장으로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 옵션이 다양해졌다.

미국 FDA에 승인된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 확인 검사는 뇌척수액(CSF) 분석과 아밀로이드 PET 검사뿐이다.

로슈진단의 일렉시스 Abeta42 및 pTau181 분석 검사를 통한 뇌척수액(CSF) 분석은 기존의 아밀로이드 PET 검사 결과와 일치도가 높아 새로운 아밀로이드 병리 확인 옵션으로서 환자들의 진단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방사선 노출 없이 한 번의 분석으로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 및 타우 단백질을 모두 검출할 수 있어 PET 검사 대비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한국로슈진단 킷 탕 대표이사는 "한국로슈진단은 이번 식약처 허가를 통해 국내 알츠하이머병 환자 및 의료진의 효과적인 조기 진단과 대응을 지원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유수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