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연합뉴스가 79개 저축은행의 지난해 결산 경영공시를 분석한 결과, 절반을 넘어서는 41곳이 '순손실'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A저축은행의 순손실이 1072억원으로 가장 큰 것을 비롯해 모두 6개사가 500억원 이상, 17개사가 100억원 이상의 순손실을 냈다.
특히 저축은행 79개사는 지난해 모두 5559억원의 순손실을 내면서 2011년 대규모 영업정지 사태 여파로 2013회계연도(2013년 7월∼2014년 6월)에 5089억원의 적자를 낸 이후 9년 만에 처음 적자를 기록했다.
지주계열 저축은행들이 다른 계열사들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기반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의 손실 가능성에 대비해 충당금을 대거 쌓은 게 순손실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지주계열 저축은행들의 순손실 합계는 2717억원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어서는 규모다.
저축은행들의 건전성 지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B저축은행의 연체율은 23.36%까지 치솟아 저축은행 사태 당시인 2011년 말 평균(20.3%)을 넘어섰다. 연체율이 10%를 넘는 저축은행도 14개사에 달했다. C저축은행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4.23%까지 뛰어올랐다.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30%를 넘어선 저축은행도 있었다. D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31.74%, E저축은행은 28.28%, F저축은행은 26.09%로 25%를 웃돌았다.
금융당국은 현재까지 모든 저축은행이 자본 및 유동성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다. 다만, 올해 들어서도 저축은행들의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졌을 것으로 보고, 내달 중순께 올해 1분기 말 연체율이 나오면 현장점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모든 저축은행이 자본 및 유동성에 문제가 없다"면서도 "연체채권 관리를 적절하게 했는지 점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바뀐 가이드라인에 따라 경·공매 등을 진행해 연체채권을 정리하고 있는지, 5월부터 사업자 연체채권 매각 채널도 확대되는데 이를 위한 준비를 잘하고 있는지가 중점 점검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임재덕 기자
Limjd8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