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1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유통·바이오 삼바, 해외 시밀러 사업 '날개'···'마일스톤' 효과로 최대 실적

유통·바이오 제약·바이오

삼바, 해외 시밀러 사업 '날개'···'마일스톤' 효과로 최대 실적

등록 2024.10.24 09:40

유수인

  기자

공유

삼성바이오에피스 제공삼성바이오에피스 제공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마일스톤' 성과로 올 3분기 누적 1조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

24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올 3분기 매출액 3303억원, 영업이익 679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누적 매출액은 1조1403억원으로 늘어나 지난해 연간 매출(1조 203억원)을 3분기 만에 초과 달성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올해 가장 큰 성장 요인은 연구개발 성과 달성 시 파트너사로부터 수령하는 대가인 '마일스톤'이다. 마일스톤은 별도의 비용이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매출과 영업이익의 동반 고도성장을 가능케 한다.

회사는 올해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오퓨비즈') 미국 허가,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피즈치바') 미국 및 유럽 허가 승인에 따라 각각 파트너사인 바이오젠과 산도스로부터 총 2205억원 규모의 마일스톤 수익을 얻었다.

이와 함께 지난 9월 유럽에서 '오퓨비즈'의 품목허가 '긍정 의견'을 받아, 연내 최종 허가 획득 시 추가적인 마일스톤 성과가 예상된다.

또 지난 7월 유럽에 출시한 '피즈치바'는 산도스와 북미·유럽 판매를 위한 파트너십을 맺은 바 있어 오리지널 제약사와의 특허 합의에 따라 미국에서도 내년 2월 출시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회사는 속 바이오시밀러 및 신약 개발로 지속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제공삼성바이오에피스 제공

현재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SB16)의 글로벌 허가 절차를 추진 중이며,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SB27)는 임상 1상과 3상을 동시에 수행하는 '오버랩 전략'으로 개발을 가속화 하는 등 블록버스터급 의약품을 타겟한 후속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 외에 유망한 분야의 신약도 기초 연구 및 전임상 단계에서의 개발을 진행 중이다.

국내 바이오 벤처인 인투셀과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항체-약물 접합체(ADC) 신약을 공동 개발하고 있으며, 자체 전문 연구 인력을 활용해 유전자 치료제 등 다양한 분야의 신약 후보 물질을 탐색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괄목할 행보는 13년째 회사를 이끌고 있는 고한승 사장의 리더십이 바탕이 되고 있다.

고 사장은 미국에서 분자유전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바이오 벤처 대표와 다이액스사(社) 부사장으로 재직했으며, 2000년 삼성에 합류했다. 그는 삼성종합기술원 등을 거쳐 2012년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고 사장은 선진 시장에서의 경영 노하우를 접목해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단기간에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연구 개발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한편, 고 사장은 2021년 1월부터 제7대·8대 한국바이오협회장으로 활동하며 업계 소통 강화, 한국 바이오 기업의 글로벌 진출 등 국내 바이오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한 노력도 적극적으로 경주하고 있다.

뉴스웨이 유수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