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19일 화요일

서울 26℃

인천 27℃

백령 25℃

춘천 24℃

강릉 28℃

청주 26℃

수원 26℃

안동 25℃

울릉도 27℃

독도 27℃

대전 26℃

전주 26℃

광주 26℃

목포 26℃

여수 26℃

대구 28℃

울산 27℃

창원 26℃

부산 27℃

제주 24℃

금융 "고환율 영향"···1월 물가상승률 한은 목표치 넘긴 2.2%

금융 금융일반

"고환율 영향"···1월 물가상승률 한은 목표치 넘긴 2.2%

등록 2025.02.05 10:41

이수정

  기자

공유

5일 김웅 부총재보 주재 '물가상황점검회의'"고환율, 석유류 가격 급등이 물가 0.1%p↑"

한국은행은 5일 오전 김웅 부총재보 주재로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고환율 여파로 1월 물가상승률이 2.2%까지 뛰어올랐다고 밝혔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한국은행은 5일 오전 김웅 부총재보 주재로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고환율 여파로 1월 물가상승률이 2.2%까지 뛰어올랐다고 밝혔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개월 만에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2%)를 넘어선 2.2%를 기록했다. 12월 초부터 지속된 고환율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끌어올린 것이다.

한국은행은 5일 오전 김웅 부총재보 주재로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물가 상황과 향후 물가 흐름을 점검했다. 김 부총재보는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가격이 환율‧유가 상승으로 오름폭이 크게 확대되면서 전월 대비 0.3%p 높아진 2.2%로 높아졌다"며 "근원물가 상승률도 개인서비스를 중심으로 1.8%에서 1.9%로 상승했다"고 말했다.

이어 "생활물가도 2%대 중반으로 오름폭이 확대했다"며 "한은은 모형추정을 한 결과 최근 환율 상승은 석유류 가격 등을 통해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0.1%포인트 정도 높였다"고 설명했다. 실제 석유류 가격은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지난해 12월 1.0%, 1월에는 7.3%까지 급상승했다.

김 부총재보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농산물가격의 기저효과, 낮은 수요압력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둔화 흐름을 보이겠으며 이후에는 목표 수준 근방에서 안정될 전망"이라면서도 "다만 환율‧유가 움직임, 내수 흐름, 농산물가격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만큼 2월 경제전망 시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정전망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후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