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성·신뢰성' 문제···스타트업 죽이겠다는 의도최수연 "전면 검토···같은 문제 반복하지 않겠다"
최 대표는 이날 "플랫폼 시장 대부분 입점 업체가 네이버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인데, (광고 집행을 반려한 것은) 어떻게 보면 독점적 현상이라고 봐야하는 것 아니냐는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 지적에 이렇게 답했다.
김 의원은 "광고 심사 시스템이 '기계적이다'라는 말로 넘어갈 게 아니라, 공정성과 신뢰성이 흔들릴 만한 문제"라며 "(규정에 따른 조치라는 답변이) 무책임한 답변 같다"고 물으며 "경쟁 생태계 스타트업을 다 죽이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지 의문이 든다"고 꼬집었다.
이에 최 대표는 "그런 의도는 결단코 없다"면서 "해당 스타트업에 큰 심려 끼친 점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있다"고 재차 사과했다. 그러면서 "모든 집행 기준 전면 검토했고 앞으로는 같은 일 반복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또 "예컨대 OTT의 경우, 다른 OTT 광고가 안 나오는 것처럼 정면충돌하는 광고에 대해서는 집행하지 않는 것이 플랫폼 보편 규정인데, 네이버와 같이 큰 플랫폼과는 맞지 않는 규정이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해당 규정을 적용하지 않거나 아주 보수적으로만 적용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어 네이버 광고와 관련된 문의 창구가 다소 폐쇄적이라고 지적했고, 최 대표는 "정확하게 파악하지는 못했지만, 그런 불만이 있다고 하면, 이는 네이버 경쟁력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곧바로 시정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네이버는 국내 AI 스타트업 뤼튼테크놀로지스(뤼튼) 등 20개 국내 스타트업의 광고 집행을 거부하면서 논란을 빚은 바 있다.

뉴스웨이 강준혁 기자
junhuk21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