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부터 IFRS 18 적용···영업이익 정의 방식 변화기존 K-IFRS 대비 투자자 의사결정 혼란 우려경상적 영업성과 정보 명확화·공시 활성화 필요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9일 서울 여의도 자본시장연구원에서 열린 'KCMI 이슈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이 연구위원은 '새 국제회계기준'(IFRS) 18 도입에 따른 영업이익 개념 변화와 제도적 대응과제'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제정한 IFRS 18은 2027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기존에는 매출에서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를 차감해 영업이익을 산출했지만, IFRS 18은 손익을 영업, 투자, 재무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투자·재무 범주에 속하지 않는 잔여 항목을 영업이익으로 정의한다.
이 연구위원은 "주된 영업활동에 기초한 기존 K-IFRS 영업이익과 금액 및 성격이 모두 달라질 것"이라며 "이에 따라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혼란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현행 K-IFRS 영업이익은 경상적 수익성과 기업 본연의 수익 창출력을 반영하는 핵심 지표로 지난 20여 년간 한국 자본시장에서 미래 기업가치를 설명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돼 왔다. 그러나 IFRS 18 도입 이후 이러한 활용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투자자 유용성 저하 사례로는 H사를 언급했다. 이 연구위원은 "IFRS 18 방식은 잔여 접근법에 따라 손상차손, 외환손익 등 다수의 1회성 항목을 영업이익에 포함시킨다"며 "H사처럼 사택 토지 처분과 같은 대규모 일회성 이익이 포함될 경우 기업설명(IR) 활동이 충분하지 않으면 투자자가 지속성과 경상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보환경의 한계도 짚었다. 그는 "코스피200 기업 중 경영진이 자체 성과 측정치를 정의해 공시하는 비중은 4%에 불과하며 코스피와 코스닥 전체에서도 재무분석가 2인 이상이 영업이익 예측을 제공하는 기업은 13%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치 관련 정보의 중개 기반이 미흡하고, 기업설명(IR) 활동이 활성화되기 어려운 구조로 인해 영업성과 정보의 보완 기능이 원활히 작동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위원은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세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그는 "IFRS 18 적용 이후에도 투자자가 경상적 영업성과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별도 식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며 "비경상 손익 항목을 조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실적 공시 양식을 구조화하고, 경영진 성과측정치(MPM) 공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유인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백초희 기자
cho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