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소재 성장에도 일회성 비용이 실적에 영향
매출은 미국 관세 부과와 내수경기 부진 등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 속 자동차 소재 부품 사업 성장에 따른 산업자재부문의 판매 신장 및 화학부문의 전방 시장 수요 확대로 성장세를 보였다. 영업이익은 자회사가 보유한 골프장 정기 보수공사 및 현재 진행 중인 운영 효율화 프로젝트 등 일회성 비용의 영향으로 감소했다.
부문별로 산업자재부문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 호조로 카시트, 에어백, 타이어코드 등 주요 자동차 소재 사업에서 매출을 늘렸고, 자회사 코오롱ENP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도 실적 성장에 기여했다. 아라미드사업은 여전히 경쟁 심화를 겪고 있으나 향후 적극적 매출 확대 전략 통해 실적을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화학부문 중 석유수지는 타이어, 접착제 등 전방산업 수요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에폭시 수지도 증가하는 반도체 패널 소재 수요에 대응하며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페놀수지 또한 조선 경기 호황으로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패션부문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패션 소비 심리 위축과 이상 기후 현상 등에 의해 매출이 다소 하락했으며, 영업이익 또한 글로벌 시장 신규 진출 및 확대에 의한 초기 투자로 인해 감소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관세 등 불확실한 대외환경 속에서도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며 "운영 효율화 전사 확대 등 기업 체질 개선 통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전소연 기자
soyeo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