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소영 아트센터나비 관장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아트코리아랩에서 열린 '2024 아트코리아랩 페스티벌'에 참석하기 위해 강연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8일 5·18기념재단은 이날 공식 성명을 통해 "고발 이후 반년이 지나도록 피고발자 소환 조사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고, 최근에야 노 씨 일가의 금융계좌를 확보해 자금 흐름 파악에 착수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5·18기념재단 작년 10월 김옥숙 여사와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센터 원장을 조세범처벌법,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특별법, 범죄수익은닉의 규제·처벌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노태우 씨의 범죄수익 은닉 정황에 대한 실체를 규명하고 책임자를 엄벌해야 한다는 취지였다.
고발장엔 김옥숙 여사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아들 노재헌이 이사장으로 재직한 동아시아문화센터에 147억원을, 2022년 노태우센터에 5억원을 기부한 사실이 포함돼 있다. 또 김옥숙 여사는 2024년에도 노태우센터에 5000만원을 추가로 출연해 은닉재산이 여전히 불법 이전되고 있다는 관측을 낳았다.
재단 측은 "최근까지 이어진 거액의 자금 흐름은 비자금 은닉이 여전히 현재진행형임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면서 "자금 흐름을 역추적한다면 범죄행위의 전모를 밝히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며, 검찰은 더 이상 수사를 지체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정 축재, 불법 은닉된 재산이 아무런 제재 없이 후손에게 이전되는 것을 검찰이 방관한다면, 12·12를 성공한 쿠데타로 만들고 5·18민주화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짓밟는 것과 다름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검찰은 같은 실수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며 "보여주기식 수사로 국민을 기만할 게 아니라 범죄수익을 끝까지 추적해 단 한 푼도 빠짐없이 환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