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2월 08일 토요일

  • 서울

  • 인천

  • 백령

  • 춘천

  • 강릉

  • 청주

  • 수원

  • 안동

  • 울릉도

  • 독도

  • 대전

  • 전주

  • 광주

  • 목포

  • 여수

  • 대구

  • 울산

  • 창원

  • 부산

  • 제주

김중수 총재 “신흥국발 금융위기 주시해야”

김중수 총재 “신흥국발 금융위기 주시해야”

등록 2013.10.31 15:55

박일경

  기자

공유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선진국의 통화정책 기조가 바뀔 때 신흥국발(發) 금융위기가 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날 김 총재는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세계경제연구원 설립 20주년 국제회의’에 기조연설자로 나서 “선진국 비전통적 통화정책의 정상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신흥국시장의 금융 불안이 글로벌 차원의 위기로 발전할 가능성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축소되거나 종료될 때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선진국의 비전통적 통화정책인 양적완화로 인해 그동안 신흥국시장으로 유입된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신흥국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워 변동성이 커지면 금융 불안을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금융 불안은 주변 국가로 전이될 위험도 높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30일(현지시간) 매달 850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사들이는 현재의 대규모 자산매입 프로그램인 양적완화 정책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시장에서는 양적완화 축소시점이 오는 12월 FOMC 정례회의 보다는 내년 1분기가 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총재는 금융시장의 안정을 유지하려면 각국 정책당국 간, 자국 내 정책당국·금융기관 간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개별국가 안에서도 중앙은행이 시스템적인 리스크를 조기에 파악하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글로벌 금융규제에 대해서도 “규제의 단순성과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특히 신흥시장국 금융산업 발전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내용을 세심하게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총재는 “차기 금융위기는 우리가 생각하지 못하는 부문의 시스템적 리스크 축적에서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번엔 다르다’는 식의 자기만족에 빠지는 것은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일경 기자 ikpark@

뉴스웨이 박일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