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산업계에 따르면 철도노조의 파업으로 시멘트, 석탄 등 운송량이 평소의 30% 수준에 머물고 있어 파업이 장기화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이번주 후반부터 피해가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철도 노조 파업으로 화물열차 운행은 첫날 48%에서 둘째날 38%, 셋째날 37%로 운행이 점차 줄어들었다. 하루 최대 2700TEU의 화물을 철도로 운송했던 의왕내륙컨테이너기지(의왕ICD)는 파업 이후 60%를 조금 웃도는 1700∼1800TEU를 처리하고 있다.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철도노조의 파업 전 강원도에서 화물열차로 이송되던 시멘트는 일일 평균 2만2000톤이었다”며 “철도노조의 파업이 나흘째에 접어들면서 강원도 지역의 시멘트 수송량이 9000톤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다행히 포스코, 현대제철 등을 중심의 철강업계는 큰 피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업계는 현재 철도 수송 의존도가 내수 물량의 7~10% 미만으로 이번 파업에 따른 큰 피해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아직 철도 파업으로 피해가 없지만 포항공장보다는 광양공장이 철도수송 물량이 조금 더 많다”면서 “향후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긴급재 우선 편성, 육송 전환 등을 통해 고객납기나 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미 대응전략을 구축해놓은 상태”라고 전했다.
재계 관계자는 “이번 철도 노조 파업으로 산업계 전반적으로 큰 피해는 없지만 향후 장기화 될 경우 철도 의존도가 높은 업계를 중심으로 피해는 점차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윤경현 기자 squashkh@

뉴스웨이 윤경현 기자
squashkh@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