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윤 위원장은 15일 열린 금융발전심의회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은 여전히 리스크 요인이 남아 있으며 우리 금융산업도 낮은 성장세가 지속되는 상황”이라며 “한해 동안의 금융정책을 평가해 보고 2015년 금융정책 방향에 논의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신 위원장은 “올 한해 정부는 과감한 규제개혁과 금융혁신을 통해 금융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해 왔다”며 “내년에는 ‘핀테크(FinTech)’라는 새로운 트렌드 속에서 우리 금융산업이 새로운 성장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 알리바바와 구글과 같은 글로벌 IT 기업들은 좁게는 지급결제, 송금 서비스부터 넓게는 투자중개에 이르기까지 업무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일부 영역을 중심으로 금융과 IT 융복합이 이뤄지고 있으나 아직 제한적인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신 위원장은 “이에 내년에는 보다 전향적으로 금융 규율을 재편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동시에 금융소비자보호라는 양방향적 요구도 조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금융업의 경쟁력 확보와 창조경제 지원을 위한 ‘창조금융’의 확산 노력의 일환으로 ‘제2차 금융규제 개혁’을 통해 보다 시장친화적인 규제정비와 금융구조개혁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투자자금의 회수기능을 활성화하고 사모펀드 분야의 시장 자율성을 확대해 모험자본의 역동적 생태계 조성에 역량을 기울이고 창조금융의 현장 확산을 위해 ‘창조금융 One-Stop’ 지원기능을 보강할 계획이다.
신 위원장은 “내년에는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따뜻한 금융’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서민에 대한 금융상품 판매환경은 엄정히 정비하고 금융 분쟁조정의 실효성을 높혀 우리 국민의 재산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신뢰금융’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2015년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유가하락과 같은 실물경제 변동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며 “따라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급변동 가능성에 대비해 잠재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점검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희채 기자 sfmks@

뉴스웨이 정희채 기자
sfmks@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