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상반기 중 분산매각 방안 발표 계획
지난해 경영권 지분(30%) 매각에 실패하면서 대체 방안을 검토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23일 금융위원회 고위관계자는 “경영권 지분 매각이 시장에서 안 먹힌다는 걸 이미 확인했다”며 “국내 주요 은행 모두 기관투자자들이 지분을 과점하고 있는 만큼 (지분을 쪼개 파는) 이런 방식의 민영화가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우리은행 민영화 재추진을 표명한 만큼 예금보험공사와 공적자금관리위 등과 협의해 상반기 중 민영화 플랜이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가 이같이 분산매각 방식으로 전환한데는 지난해까지 4차례나 민영화에 실패한 경영권 매각 방식이 실효성이 없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해까지 고수해온 방식은 일괄매각이었다. 특정인이나 국내외 투자자가 모인 컨소시엄에 은행 경영권 지분(30%)을 넘기는 식이다. 이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 팔 수 있어 공적자금을 최대한 많이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최소 3조원대의 자금 여력을 지닌 인수후보자를 찾기 어려워 경쟁입찰이 성립되지 않는 등 문제를 낳았다.
때문에 기관투자자에게 지분을 나눠 파는 매각방식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의견이 많다. 이에 정부도 분산매각 방안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이다.
시중은행의 한 임원은 “은행의 지분은 기관투자자 등에 분산돼 있다”며 “통상 주인이 있다는 신한금융지주의 경우도 재일교포 200여 주주들의 지분은 20%도 안된다”고 지적했다. 실제 KB금융과 하나금융, 신한금융의 1대 주주는 국민연금공단으로 지분을 9% 안팎으로 보유하고 있다.
정부가 분산매각을 검토하는 다른 이유는 대상 물량을 다 팔지 못하더라도 정부 지분이 낮아져 최소한 우리은행이 예보와 맺은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에서 벗어나는 민영화의 발판을 만들 수 있을 것이란 계산도 깔려있다.
박상용 공자위원장(연세대 교수)도 지난해 말 “(경영권 지분 매각에 실패할 경우) 내년에 경영권 지분 매각을 다시 시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예보가 현재 51.04%의 우리은행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송정훈 기자 songhddn@
뉴스웨이 송정훈 기자
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