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 서울 2℃

  • 인천 -1℃

  • 백령 6℃

  • 춘천 -3℃

  • 강릉 4℃

  • 청주 1℃

  • 수원 1℃

  • 안동 -2℃

  • 울릉도 7℃

  • 독도 7℃

  • 대전 3℃

  • 전주 1℃

  • 광주 3℃

  • 목포 4℃

  • 여수 6℃

  • 대구 1℃

  • 울산 6℃

  • 창원 5℃

  • 부산 8℃

  • 제주 7℃

식품·화장품에 호텔·관광까지···유통업계 ‘총체적 난국’(종합)

[2차 차이나쇼크/유통]식품·화장품에 호텔·관광까지···유통업계 ‘총체적 난국’(종합)

등록 2017.03.03 17:30

차재서

,  

금아라

,  

이지영

  기자

공유

中 한국관광 제한에 면세점업계 직격탄 호텔·여행업계도 냉랭한 한중관계 체감명동거리 ‘비상’에 화장품업계도 우려↑식품업계는 현지 불매운동에 노심초사

중국 사드 보복, 롯데면세점.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중국 사드 보복, 롯데면세점.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

중국이 한반도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 수위를 높이면서 한국 유통업계가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의류 수입 제한에서 시작된 중국의 규제는 올들어 화장품과 식품으로 확산됐고 중국인의 단체관광까지 금지하면서 면세점·호텔·여행업계로 불길이 번졌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여유국은 전날 베이징 지역 여행사를 소집해 회의를 갖고 이달 중순부터 한국행 여행상품에 대한 판매를 중단하라는 지침을 전달했다. 이에 따라 단체관광과 개인관광을 포함해 여행사로부터 항공티켓을 끊고 한국으로 출국하는 모든 여행이 금지된다.

중국의 이번 조치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는 곳은 국내 면세점이다. 매출의 70% 이상을 중국인에 의존하는 만큼 관광 제한은 실적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한국관광공사와 관세청 등의 통계에서는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1720만명 중 절반에 달하는 806만명을 중국인이 차지했다.

특히 중국의 주요 타깃인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시내면세점 매출 중 약 80%를 중국인 관광객으로부터 거둬들였다. 서울 소공동 롯데면세점 본점의 경우 지난해 매출 3조1600억원을 기록했는데 이중 2조6000억원을 중국 관광객이 책임졌다는 계산이 나온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작년 면세시장 총 매출 12조 가운데 중국인 매출이 70%를 차지한다고 봤을 때 중국관광객 매출은 약 8조5000억”이라며 “그 중 단체 여행객 50%가 빠지면 4조 이상의 매출 감소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지난해 문을 연 신규면세점도 처지는 비슷하다. 이들 업체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 비중이 70~90%로 기존 면세점보다 더 높다. 때문에 중국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면 ‘존폐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실제 HDC신라면세점와 신세계DF를 제외하고는 적자폭을 줄이지 못해 경영난에 빠진 상황이다. 지난해 상반기 두타면세점은 매출 104억원에 영업적자 160억원을 기록했고 갤러리아면세점63을 운영하는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도 174억원의 적자를 냈다. 같은 기간 하나투어 자회사 SM면세점 역시 140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사진=정혜인 기자 hij@newsway.co.kr사진=정혜인 기자 hij@newsway.co.kr

관광객 밀집지역인 명동상권에도 때아닌 비상등이 켜졌다. 중국인 관광객의 화장품 구입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역인 만큼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이 곳은 이니스프리, 네이처리퍼블릭, 더페이스샵 등 뷰티 관련 상점이 몰려있어 화장품 업계의 고심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실제로 매출이 어느 정도 줄어들지, 현재로서는 사실 추정하기가 어렵다”며 “향후 어떤 식의 흐름으로 이어질지 당분간 지켜보고 그에 따른 방비를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여행과 호텔업계는 조심스런 태도로 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근 중국 외교 싱크탱크 ‘차하얼 학회’가 방한 직전 롯데호텔 예약을 취소했다는 소문까지 떠돌면서 냉랭한 한중관계를 체감하는 분위기다.

중국인 관광객의 경우 여행사를 통한 관광이 대부분인데 관광업계는 그 비중이 45%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중국만을 담당하는 인바운드 여행사의 경우에는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 여행업체 관계자는 “현지 파악 결과 아직까지는 중국 여행사 대다수가 판매 중단에 관한 내용을 모르는 것으로 안다”면서 “얼마나 타격이 올지는 가늠하기 어렵지만 시간이 지나 윤곽이 나오면 대응을 해나갈 방침”이라고 귀띔했다.

중국 시장에 진출한 국내 식품업계에도 위기 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현지 온라인에서 한국 제품 불매운동 움직임이 감지되자 불똥이 옮겨붙을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이미 중국 정부는 연초부터 한국산 식품에 대한 규제 강화 움직임을 보였다. 지난달에는 국내 중소기업이 수출하는 주스와 라면 등 제품을 ‘수입 불합격 명단’에 포함시켰고 이달에는 롯데그룹 계열사가 중국에 수출한 사탕제품을 소각했다.

중국 당국은 규정을 따른 것뿐이라고 발뺌했지만 한국 물품에 대해 관행으로 넘어갔던 검역 절차가 외교 문제와 맞물려 더욱 엄격해졌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그간 각 업체는 대규모 시설 투자 등 현지화 작업으로 입지를 굳혔지만 경계의 목소리는 높다. 지난 2008년 ‘까르푸 불매운동’, 2012년 ‘일본 제품 불매운동’ 때도 중국인의 집단행동으로 여러 기업이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일부 기업은 공식 성명을 통해 롯데와 관련이 없음을 해명하며 선긋기에 나서기도 했다.

유업계는 중국 정부가 오는 2018년부터 실시하는 새 정책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분유 제조기업이 최대 3개 브랜드, 9개 제품까지만 판매할 수 있고 중국 당국의 심사와 허가를 받아야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다만 전기차 배터리의 사례와 같이 중국이 한국 유업체에만 불이익을 안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현지의 변화에 눈을 떼지 않고 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