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이날 발간한 ‘세계 의약품 산업과 국내산업 경쟁력 현황’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수출입은행은 국내기업의 경쟁력이 양호한 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 CMO 부문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한 뒤 축적된 역량을 바이오신약개발에 활용하는 단계적인 접근을 주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EU·일본 등 선진국 의약품 시장이 약 70%를 차지하는 세계 의약품 시장은 시장확대와 고령화, 의료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2021년엔 규모가 약 1조5000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중심의 고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블록버스터급 의약품 특허만료로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급성장하며 아웃소싱 서비스 시장과 M&A, 전략적 제휴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우리나라도 최근 바이오시밀러 수출과 선진국 임상시험, 기술수출이 급증하고 있으며 삼성 등 대기업이 바이오의약품 사업에 진출하며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다만 영세업체 위주의 국내 바이오의약품산업은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크며 R&D 투자규모가 열세해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서는 평가했다.
실제 수은 해외경제연구소가 국내 53개 바이오의약품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7년 이상 장기간이라고 응답한 곳이 55%로 나타났다.
기술력 확보방안으로는 R&D 투자 확대를 통한 독자적인 기술 확보라고 응답한 기업이 62%로 가장 높았고 이들의 2016년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중은 9.4%, R&D 투자액은 평균 89억원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기업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가 평균 18%이며 글로벌 신약개발 시 1조~2조원 상당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낮은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수은 관계자는 “미국이나 중국처럼 정부가 R&D와 투자확대 지원을 적극 강화해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인프라를 조성하고 정책추진 효율성 제고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