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롯데 지배구조 문제 아직 못 풀어4개월 준비 김 위원장, ‘구조적 처방’ 나설 지 관심사장단 인사 막 끝낸 삼성, 아직 참석자 못 정해
1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오는 2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 20층에서 삼성, 현대차, SK, LG, 롯데그룹 경영진과 간담회를 갖는다. 지난 1차 회동에서 만난 4대 그룹에 롯데그룹이 추가됐다.
이번 회동에는 정진행 현대차 사장,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하현회 LG 사장, 황각규 롯데 부회장, 이동근 대한상의 부회장이 참석한다.
삼성은 1차 참석자였던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사퇴한 상황이라 아직 참석자를 확정하지 못했다. 일각에서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으로 내정된 이상훈 사장의 참석을 점치고 있다.
재계에서는 이번 2차 회동은 1차 때와는 분위기가 크게 다를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지난 6월 첫 회동 때는 ‘자발적 변화’를 요구하는 선에서 그쳤다면 이번 회동에서는 좀 더 강한 압박이 있을 것으로 기업들은 우려하고 있다. 첫 간담회가 상견례 차원이었다면 이번 만담은 재벌개혁과 관련한 구체적인 논의가 오갈 가능성이 높다.
김 위원장이 대기업을 향해 ‘자발적인 변화’를 강조해온 만큼 5대 그룹은 각사의 현안에 맞춘 자구책을 마련하는 데 전력을 쏟고 있다. 당시 김 위원장은 4대 그룹에 지배구조 개선과 일감 몰아주기 해소, 동반성장, 일자리 창출·비정규직 축소 등을 통한 재벌 개혁을 주문했다. 하지만 기업들이 총수 부재와 경영환경 악화 등의 문제가 산적해 있어 이번 간담회에 김 위원장이 만족할 만한 개혁안을 내놓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특히 현대차와 롯데그룹의 발걸음이 무겁다. 아직까지 김 위원장이 지적한 문제를 풀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 대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해왔고 특히 현대차를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아무런 결정도 하지 않은 채 시간만 낭비하고 있다”며 “모든 가신들이 회장만 받드는 구도”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현대차 그룹의 경우 지배구조 이슈가 걸려 있어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다. 현대차그룹이 이번 회동을 통해 복잡하게 꼬인 순환출자를 개선할 방안을 내놓을 수 있을지가 주목되고 있다. 기술탈취 문제도 풀어야 할 과제다. 공정위는 최근 현대차의 중소 하도급업체 기술탈취 재조사에 착수했다.
롯데그룹도 현대차 그룹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과 무관치 않다. 검찰로부터 총수가 징역 10년을 구형받은 롯데그룹 역시 이번 회동 자체가 부담스럽기 그지 없다. 최근 중국의 사드 경제보복과 통상임금 소송, 한미FTA 재협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며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순환출자 고리를 완전히 해소해야 하고 금융계열사 문제도 처리해야 한다. 특히 일본롯데와의 관계정립을 위해 호텔롯데 상장 등 추가적인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 롯데정보통신의 일감몰아주기와 순환출자 규제 또한 껄끄럽다. 롯데는 공항 면세점 담합 혐의로 공정위 조사망에도 오른 상황이다.
SK와 LG는 이동통신사의 시장 독과점 문제가 지적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무약정폰 가격 담합 문제를 공정위가 들여다보고 있다. 두 그룹은 공통적으로 브랜드 수수료가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받고 있어 부담이 크다.
삼성전자는 지배구조 개선 방안을 내 놓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여진다. 최근 이사회를 통해 3개 부문장 인사를 단행한 삼성전자는 향후 사장단 인사 및 조직 개편 등을 통해 지배구조를 더욱 투명하게 만드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래전략실 역할을 대신할 컨트롤타워 부활 전망도 나온다.
이같이 분주한 재계 분위기와는 달리 김상조 위원은 차분한 모습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만남에서 “재벌개혁을 결코 서두르거나 독단적으로 진행하지 않고, 기업인들과 신중하고 충실히 논의하겠다”면서 4개월 동안 차근차근 준비해 왔다.
그동안 공정위는 기업집단국 신설 등 조직개편을 끝냈다. 올 초부터 진행한 45개 대기업집단의 내부거래 실태조사도 마치고, 일부 대기업은 이미 조사에 착수했다. 공정위의 가장 강력한 ‘칼’인 총수 일가에 대한 일감몰아주기 조사도 이뤄졌다. 공정위는 자산 5조원 이상 재벌 45곳을 대상으로 한 실태 점검에서 두 자릿수 이상의 잠재적인 조사 대상을 적발했다. 하지만 그동안 중하위 그룹인 하림과 대림 등 2곳만 조사에 착수하고 자제해왔다.
9월 언론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은 “4대 그룹이 12월까지 긍정적 변화의 모습이나 개혁 의지를 보여주지 않으면 ‘구조적 처방’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독기를 품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그 동안 재벌의 태도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기업 지배구조 개편 및 일감몰아주기 등과 관련해 가시적인 변화의 모습을 보인 사례가 없어 김 위원장이 공정위의 실력행사를 언급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국정감사가 막 마무리된 상황이라 압박의 강도가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의원들로부터 재벌개혁 속도가 미진하다는 질책이 잇따랐고, 김 위원장도 본격적으로 제재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이번 5대그룹과의 회동에서 구체적인 재벌개혁의 방향을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재벌개혁과 관련한 진행 상황과 함께 중소기업과의 상생 여부도 살펴볼 것으로 전망된다. 김 위원장이 자율개혁을 외면하는 재벌에 어떤 대응 전략을 내놓을지 관심이 모두 집중되고 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아직까지 준비한 게 없어서 걱정인데 예상도 쉽지 않아 고민이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재벌개혁에 대해 기업들이 단시간에 추진하거나 해소하기는 현실적으로 무리가 따르는 상황”이라고 푸념했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joojoosk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