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홍종학, ‘기술임치제’로 대기업 기술탈취 막는다

홍종학, ‘기술임치제’로 대기업 기술탈취 막는다

등록 2017.11.26 17:18

주현철

  기자

공유

홍종학, ‘기술임치제’로  대기업 기술탈취 막는다 기사의 사진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취임 후 첫 과제로 ‘대기업의 중소·벤처기업 기술탈취 문제 해결’을 제시하면서 이를 해결할 실질적 방안으로 기술임치제가 재조명 받고 있다.

홍 장관은 지난 23일 취임 후 첫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가장 역점을 둘 사안은 기술탈취 문제 해결로 기술임치제를 적극 활용하겠다”며 “현재 운영 중인 ‘기술임치제’를 활용해 구조적으로 기술탈취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기술(자료)임치제는 기업 간 거래관계에서 부당한 기술자료 요구에 대응한 핵심기술의 안전한 보호, 기술제공 기업의 파산·폐업에 대비한 안정적 기술 확보 등을 목적으로 도입됐다.

이 제도의 가장 큰 효과는 기술탈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데다 기술탈취 분쟁에서 임치기업이 유리한 위치로 올라설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기술탈취는 역대 정부가 해결하지 못한 중소기업계의 최대 난제 중 하나다. 대기업과 거래 관계로 엮인 중소기업은 거래 보복이 두렵고 법적 대응 여력이 낮아 기술탈취 피해를 겪고도 감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재단에 따르면 2008년 제도 시행이래 누적 임치건수는 약 4만건이며 현재 9000여건이 임치된 상태다. 국내 중소기업 숫자가 350만개에 달하는 것을 감안하면 이용율이 1%대에 그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중기부는 향후 공정위에 표준하도급 계약서 안에 기업이 임치제를 활용할 수 있다는 식의 조항을 명시해줄 것을 요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표준하도급 계약서 개정을 추진 중인 공정위가 중기부의 제안을 받아들인다면 기술임치제 사용이 사실상 의무화 될 가능성이 높다. 기업의 표준 계약서 사용은 의무가 아니지만 공정한 거래 환경을 위해 준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변수는 임치제가 자칫 기업 입장에서 규제로 보일 가능성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표준하도급 계약서 내 임치제 조항이 반영되더도 계약서 자체가 가이드라인 성격을 띠는만큼 규제로만 볼 수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