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는 지자체 최초로 ‘저장강박가구 개입을 위한 사례관리 매뉴얼’을 제작하고 동 주민센터 및 민간기관에 배포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추진된 ‘저장강박가구 마을 안 함께살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구는 민‧관 협력을 통해 저장강박에 대한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한 통합사례관리 모델을 개발하고 맞춤형 실천 가이드북을 만들었다.
기존 저장강박가구에 대한 사례관리가 단순히 집 안에 쌓인 물건을 치워주는 ‘주거환경개선’에만 중점을 뒀다면 구는 저장강박을 ‘정신질환’에 의해 수반되는 문제로 초점을 맞추고 저장행동의 원인분석과 심층 상담을 통해 정상적인 삶으로의 회복이 가능토록 했다.
이를 위해 구는 지난 10월 영등포장애인복지관과 함께 TF팀을 구성하고 총 11차례 회의를 진행했다. 정신과전문의, 교수,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등 전문가의 자문을 더해 최종적으로 지자체 유일의 ‘저장강박가구 사례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완성했다.
주요 내용은 ▲저장강박가구의 현황 ▲저장행동에 대한 이해 ▲저장강박 의심가구 과정별 사례관리 ▲전문가 피드백 ▲실천사례 등이다. 저장행동의 원인 분석부터 대상자 선정, 서비스 제공, 사후관리까지 통합적인 사례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또 상담TIP, 전문가 피드백, 저장행동 원인분석지 등을 포함해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활용도를 높였다.
올해 4월 기준 영등포구 저장강박가구는 총 59가구다. 구는 기존 사례관리대상자를 제외한 48가구를 대상으로 매뉴얼에 따라 전수방문 조사(초기상담)를 실시하고 개인별 복지욕구에 맞는 사례관리를 진행하고 있다.
구 관계자는 “저장강박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관련 연구나 대안 부재로 효율적인 관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며 “본 매뉴얼이 저장강박가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재발 감소에 효과적인 새로운 대안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성남 기자
jsn0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