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수석은 이날 오전 청와대 출입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정부도 광주형 일자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상반기에 잘하면 최소한 한 두 곳은 급물살을 탈 수 있겠다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형 일자리는 지역사회에서 노사민정이 대타협을 통해서 기업을 유치, 그 기업을 통해서 일자리를 창출한다.
또한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는 것이 골자며, 이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하다.
앞서 광주시와 현대차는 광주형 일자리에 합의하고 지난달 31일 협약식을 진행 한 바 있다.
정 수석은 “광주형 모델은 결국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의 제1호다. 지역마다 특수한 제2, 제3의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이어 “많은 분이 ‘다른 지역이 어디냐’고 질문하는데 제가 직접 만나본 지역은 두 군데”라며 “시장님들이 직접 광주형 일자리에 대해 제게 질문하고, 구체적으로 추진할 계획을 제시하는 분들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 외에도 이름을 댄다면 전북 군산, 경북 구미, 대구 등이 아주 구체적인 계획을 가진 것 같다. 광주형 일자리가 일반화되는 것은 두 가지 차원이다. 자동차로 시작했는데 다른 산업으로 어떻게 확산시킬지, 광주에서 시작한 것을 어떻게 전국으로 확산할지다”라고 말했다.
정 수석은 “지자체장들은 주로 첨단 미래형 산업으로 관심을 많이 갖고 있다. 그분들이 그런 방향에서 관련 기업체를 접촉해 구체적인 협상을 할 수 있지 않을까 본다”며 “재계 분들도 광주형 일자리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고, 어떻게 하면 본인들이 할 수 있는지 의견을 물어보는 정도에 와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저희가 광주와의 협상 과정에서 제기된 이슈들을 모아보니 상생형 지역 일자리를 위해 정부가 무엇을 할지가 분명해졌다. 그것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모아 제도화하는 것을 준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정 수석은 “산업부에서 상생형 지역 일자리 개념으로 이것을 법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고, 2월쯤엔 정책을 발표할 정도로 준비가 진행되는 것 같다. 그게 다 되면 공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청와대의 지원 계획에 대해서는 “사업 자체에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없고, 지방자치단체가 세제와 재정적인 지원을 하는 것은 이미 합의가 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정 수석은 ‘광주형 일자리’의 의미로 ▲ 사회적 타협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제조업 공장의 국내 유치를 통한 제조업 활성화 ▲ 지역경제 활성화 ▲ 지역 청년 일자리 확보 등 4가지를 지목했다.
뉴스웨이 유민주 기자
youmi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