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하나은행 자산관리체계 쇄신안 발표 ‘투자상품 리콜제’ 도입···외부 의견 수용 채널별 판매·투자 한도로 리스크 줄이고필체 인식AI모형 개발 등 시스템 투자도
특히 손태승 회장과 지성규 행장은 DLF 문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앞으로 열릴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을 존중하겠다고 거듭 고개를 숙이며 조속한 배상을 약속하기도 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은 하루 간격을 두고 나란히 이 같은 내용의 계획을 내놨다. 자산관리 부문에 대한 정책과 제도, 프로세스를 전면 개편해 불완전판매를 차단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두 은행이 내놓은 혁신안의 핵심은 ‘투자상품 리콜제’(책임판매제도)의 도입이라고 할 수 있다. 투자상품 판매 이후 불완전 판매로 판단되면 철회를 보장하는 제도인데 DLF 사태 이후 국정감사로 이어지면서 그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각 은행이 정치권의 요구에 화답한 셈이다. 우리은행 측이 계획을 공개하자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환영의 뜻을 밝히며 “DLF사태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곳뿐 아니라 은행권의 전면적인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또 이들 은행은 고위험 상품 판매에 대해 전문가의 조언을 적극 수용하기로 했다. 우리은행의 경우 외부 전문가 중심으로 상품선정위원회를 꾸리고 하나은행은 상품 판매 이후에도 전문가의 리뷰를 거쳐 판매 지속 여부를 결정한다.
상품판매 단계에선 채널별 판매나 소비자의 투자 한도를 설정함으로써 리스크를 덜어낼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PB검증제도를 신설해 채널·인력별 판매 상품에 차등을 둔다. 하나은행 역시 소비자의 전체 금융자산 대비 고위험 투자 상품의 투자한도를 설정해 리스크를 최소화한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지원하기로 했다.
투자자 성향분석과 관련해서도 하나은행은 영업점에서 소비자의 투자성향 분석 직후 콜센터에서 본인의 의사를 실시간 재확인하는 ‘확인콜’ 제도를 마련했다.
동시에 이들은 시스템 차원의 혁신도 이어간다. 우리은행은 위험 조기경보, 투자 이력조회, 수익률 관리 등이 가능한 자산관리통합시스템을 구축한다. 생애주기 자산관리체계도 도입해 연령대별 상품 라인업과 포트폴리오 제공 등 차이를 둘 예정이다. 하나은행은 투자상품의 완전판매를 목표로 거래신청서, 투자설명서 등을 스마트창구 업무로 구현하고 필체 인식AI모형을 개발해 소비자가 자필로 기재한 필수항목의 누락과 오기재 여부를 면밀히 점검한다.
이와 함께 두 은행은 최근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된 핵심성과지표(KPI)에도 일부 변화를 줬다. 우리은행은 일단 올 4분기엔 자산관리상품 관련 KPI 평가를 제외하기로 했고 하나은행은 PB 평가 항목 중 소비자 수익률 배점을 상향했다. 추후 이러한 조치는 점차 일반 영업점으로 확대된다.
이밖에 혁신안에선 PB 육성을 위한 방안도 나왔다. 하나은행은 선발기준을 높이는 한편 개인·기업·글로벌금융 등 전반에 걸쳐 고도의 전문성을 갖추도록 교육과정을 강화한다.
이와 관련 우리은행 관계자는 “독일금리연계 DLF와 관련해 소비자에게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면서 “원만한 해결을 위해 앞으로 있을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결정을 존중하고 조속한 배상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KEB하나은행 측도 “소비자보호를 은행의 최우선 가치로 삼고 신뢰 회복과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