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가계대출 조이기 본격화···단위 농·축협 집단대출도 막힌다

금융 은행

가계대출 조이기 본격화···단위 농·축협 집단대출도 막힌다

등록 2021.08.20 19:43

정백현

  기자

공유

서울 충정로 농협중앙회 본부.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서울 충정로 농협중앙회 본부.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최근 금융당국으로부터 가계대출 폭증 완화 대책을 요구받았던 NH농협은행, 우리은행, SC제일은행 등이 잇달아 담보대출 신규 승인을 중단하는 등 은행권의 대출 조이기가 본격화된 가운데 제2금융권인 전국 단위 농·축협의 집단대출도 일시 중단될 전망이다.

농협중앙회는 신축 아파트 입주자 등에게 개별 심사 없이 승인했던 중도금 대출 등 집단대출의 관리를 강화하는 내용 등을 담은 가계대출 총량관리계획을 금융위원회에 보고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계획에 따르면 전국 단위농협과 축협에서는 가계대출 총량 목표 달성을 위해 조만간 집단대출 신규 승인을 일시 중단할 예정이다. 각 농·축협조합은 조합별로 목표를 설정한 뒤 그에 따라 대출 요건을 까다롭게 운영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제2금융권에 60%로 적용되던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상한선도 단위조합 재량 판단에 따라 자체적으로 더 낮추기로 했다. DSR이 축소되면 담보물건 가치의 절반 이하 금액까지만 대출이 가능해진다. 또 주거용 오피스텔 대상 모집인 대출도 중단된다.

이 계획을 받은 금융위는 농협중앙회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대책에 대해 더 명확하고 구체적인 내용으로 보완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 18일 NH농협은행과 농협중앙회에 가계대출 관리대책을 이번주까지 제출하라고 요청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농협은행 등의 가계부채 증가액은 연초 설정 목표치를 이미 초과했다”며 “이달 중 특단의 조처가 있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올 1월부터 7월까지 제2금융권에서 공급된 가계대출 규모는 27조4000억원이며 이중에서 농·축협에서만 10조1900억원이 늘었다. 다른 상호금융기관의 연간 증가 규모가 1조원에 못 미치는 점을 고려한다면 농·축협의 대출 폭증세가 유독 가파른 상황이다.

단위 농·축협과 별도로 농협은행은 오는 2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신규 가계 담보대출 취급을 모두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또 우리은행은 오는 9월 말까지 일시적으로 전세자금 대출의 신규 취급을 중단키로 했고 SC제일은행도 일부 부동산 담보대출 취급 중단을 결의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앞으로 매주 농협은행과 농협중앙회 등 금융기관 관계자를 만나 가계부채 관리 실태를 점검할 것”이라며 “기관별 총량 관리가 미흡하면 추가 대책을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