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씨앤씨인터내셔널, 캐파 늘려 이익 확대 속도

씨앤씨인터내셔널, 캐파 늘려 이익 확대 속도

등록 2022.06.30 16:13

수정 2022.07.04 17:26

천진영

  기자

공유

C&C상해 2공장 가동·그린카운티 2개층 증축 색조화장품 수요 회복세 맞물려 수익성 증대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색조화장품 ODM 기업 씨앤씨인터내셔널이 생산능력(CAPA) 증설 등 선제적 투자를 기반으로 실적 반등의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국내 뿐 아니라 북미, 유럽 리오프닝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수주 확대 기대감도 높다.

30일 씨앤씨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색조화장품 연간 생산능력은 전년 1억7000만개에서 오는 2024년까지 2억8000개로 1.6배 가량 확대할 계획이다. 하반기 C&C 상해 제2공장을 가동하고, 이후 그린카운티(용인) 사업장을 증축해 신규 시장대응을 위한 양산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씨앤씨인터내셔널은 퍼플카운티(본사), 그린카운티, C&C 상해 등 3곳의 사업장에서 색조화장품을 제조하고 있다. 지난해 IPO(기업공개)를 통해 모인 공모자금으로 올 1분기까지 공장 증축에 총 36억4100만원의 자금을 투입했다. 증권신고서상 계획한 시설자금(280억원)의 13% 해당하는 규모다.

씨앤씨인터내셔널의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3%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94.0% 급증한 23억원이다. 북미와 아시아 지역 수출 증가로 전체 매출 규모가 확대됐으며 수익성이 개선된 영향이다. 특히 중국법인은 매출 38억원, 순이익 11억원으로 전기 말 대비 흑자 결실을 맺었다. 로컬브랜드 고객사와 립(LIP) 매출 비중이 크게 늘면서 수익 증대가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국내 매출 비중이 50%(128억원)로 가장 많다. 이어 북미 18%(46억원), 중국 15%(38억원), 아시아 9%(22억원), 유럽 8%(20억원) 순이다. 작년 1분기 대비 매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한 지역은 중국과 북미 등이다. 각각 4.2배, 2.3배씩 늘었다.

코로나19 여파로 눌려 있던 색조화장품 수요가 회복하면서 시장에서는 립 제품 비중이 큰 씨앤씨인터내셔널의 성장세가 가파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더욱이 중국 생산공장 캐파 확장으로 실적 흐름은 예년과 다를 것이란 시각이다.

정지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색조 화장품 수요 증가 및 글로벌 고객사 신제품 출시에 따른 오더 증가 흐름 이어지며 2분기 소비가 부진했던 중국 외 북미, 유럽향 수출 비중 늘어나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월평균 수주량은 전년 375만개에서 올해 2~3월 1.7배 증가했으며, 오미크론 확진자 수 피크아웃 이후 3월부터는 인디·매스 브랜드 고객사 발주가 이어지고 있다. 평균 리드타임이 약 45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2분기 실적 반등 기대감이 높다는 평가다.

정 연구원은 "중국법인은 4~5월 상해 봉쇄에 따른 공장 가동 중단으로 실적 타격 불가피하다"며 "다만 중국법인의 매출 비중이 10% 내외로 크지 않고, 하반기부터 상해 2공장 생산 가동 예정으로 코로나19 안정화 시 사전 물량 확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천진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