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X 2022 기조세션서 전문가 논의황만순 대표 "이사회 중심 지배구조 문화 지향"이정규 브릿지바이오 대표 "지분율 중심 경영 개념 혁파"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2(BIX)'의 기조세션 '한국 바이오산업 현재와 미래를 그리다'에서는 바이오산업 생태계의 핵심 전문가들이 모여 스타트업 및 투자 현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참석한 전문가들은 한국 바이오산업 성장을 위해 기업들이 전통적인 세습경영 문화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이사는 "향후 10년까지 바이오섹터의 발전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M&A(인수합병)라고 본다. 바이오기업 창업 수가 너무 많고 탤런트 풀에 비해 쪼개져 있다"면서 "(기업 규모가) 글로벌로 나갈 수 있는 사이즈라고 물어본다면 오늘은 노(NO)라고 말하겠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평생 연구만 하다가 창업하고 회사가 발전해서 커지면, 그분(창업자)들이 그 사이즈 경영 잘할 수 있을까. 잘하기 위해 노력을 들이는 것보다 잘하고 있는 사람을 들이는 게 더 좋을 것"이라며 "하지만 거기에서 걸림돌은 지분율이다. 투자자도 경영자의 지분율이 낮다고 하면 투자를 잘 안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투자자-기업가-거래소-법체계가) 물고 물리는 문제다. 경영권 지분율이 아니라 이사회 중심으로 가야 한다. 지금은 경영 문제로 산업이 성장했다"며 "바이오텍 회사를 자식에게 물려주는 것은 하이텍+구닥다리 거버넌스다. 이는 개선의 문제가 아니라 혁파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이사도 "국내 빅파마들의 M&A 케이스가 많지 않은 것은 자본상속 등의 환경적 요인이 작용한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M&A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장기적 세제지원이 필요하다. 상속사의 지분 희석 우려를 방지하기 위함"이라며 "또 이사회 중심 지배구조를 위한 용역사업을 진행해 적용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전문가들은 한국 바이오산업 성장을 위해 ▲코스닥 시장 활성화 ▲규제기관 동참 ▲생산시설 및 인력 확보 ▲국내 특허 고부가가치 지원 ▲정부 등 연계기관 지원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대표는 "최근 상장돼 있는 회사들의 주가가 안 좋고, 상장도 안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대한민국이 대한민국을 믿는 게 필요하다"며 "중국은 하이테크 산업의 법인세가 15%정도다. 다른 산업은 25% 이렇다. 우리도 국가 미래 주력 사업인 4차산업혁명 관련주는 한시적으로 공매도를 제한하는 등의 지원이 있었으면 좋겠다. 이를 통해 자금조달 및 산업 성장의 선순환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진단키트, 마스크 생산 상황 등에서 규제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동반자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식약처 전문인력을 대폭 확대해 산업의 동반자가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어 "의약품 생산할 곳이 많지 않다. 소규모 생산시설(CMO) 확보를 통해 초기 기업 생산역량을 지원하고 신속한 비임상/ 임상시험과 제품 고도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황 대표는 특허와 관련해서도 "양적인 성장은 됐다. 국내 특허 출원/등록 수는 세계 순위권이지만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 특허인지 중요하다"며 "글로벌 시장 내 특허침해분석(FTO)의 중요도가 높아지는 만큼 정부에서도 FTO 보고서 지원이 필요하다. 또 고부가가치 산업의 핵심 인력 양성 및 확대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간투자연계 과제 확대도 필요하다. 각 부처 정부과제의 민간 투자자 및 은행과의 협력을 통한다면 초기기업 지원 재원 마련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표도 "현재 가장 시급한 것이 특허와 관련한 부분이다. 한국의 산학협력단 쪽 특허를 보면, 본인에게 실속 없고 권리 보호에 쓸모없는 특허가 많다"며 "특허를 보호받으려면 많은 연구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유수인 기자
sui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