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특성 무시한 정책 변경" 불만 표출'KT 가입자 유지 전략·노조 소통 결여' 주장도
24일 뉴스웨이 취재 결과 KT서비스 남부는 지난 17일 노사 합의를 통해 통신비 지원 정책을 변경했다. 회사는 직원들에게 '통신서비스 이용증명서' 제출 받아 실제 통신사 가입 현황을 파악해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 새 지침은 오는 내달 1일부터 시행된다. 다만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타 통신사를 이용하는 직원들은 지원금을 받지 못한다.
이번 결정에 대해 직원들은 "업무가 대부분 모바일로 이뤄지는 현장직 특성을 무시한 처사"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설치수리 기사인 A씨는 "통신비 지원은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것인데 지원 자체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제한하는 건 부당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직원 B씨는 "월 5~7만 원 수준의 지원인데 이마저도 KT 가입자로 한정해 불만이 크다"며 "노조가 직원 의견 수렴 없이 합의를 진행한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일부 직원들은 이번 조치를 KT 그룹 차원의 가입자 유지 전략으로 보고 있다. 최근 통신업계가 보안 사고와 단말장치 유통구조 변화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한 '꼼수'라는 해석도 나온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 변경이 법적 문제는 크지 않다고 평가한다. 통신비 지원은 임금협상의 복지 차원에 해당하며 노사 합의가 적법하게 이뤄졌다면 문제 삼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다만 시행 시점에 유예기간이 없고 의사결정 과정이 투명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비판적 견해도 존재한다. 일부에서는 근로자 권익 보호를 책임져야 할 노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KT서비스 남부 관계자는 "통신비 지원 기준은 노사 합의에 따라 정당하게 변경됐다"는 입장을 밝혔다.

뉴스웨이 강준혁 기자
junhuk21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