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도 좋았다···합산 영업이익 1조2618억원 전망호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통신 3사, 하반기 변수 산적다시 경쟁 붙이는 정부, 5G 기본요금 인하 요구도↑
그러나 하반기 실적은 안갯속이다. 이들의 경쟁을 다시 촉진하려는 정부와 5G 기본요금을 낮추려는 각계 요구가 거세지는 만큼, 빠르게 성장하던 흐름이 꺾일 수 있다고 업계는 우려한다.
1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분기(4~6월) 통신 3사 합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14조4497억원, 영업이익 1조2618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3%, 영업이익은 8.1% 늘어난 호실적이다.
상반기 기준으로 봐도 지난해보다 성과가 좋다. 증권가 컨센서스대로라면, 통신 3사 합산 상반기 매출은 28조8069억원, 영업이익은 2조5029억원이 된다. 지난해 같은 기간 각각 27조9513억원, 2조4874억원이던 점을 고려하면, 소폭 성장하게 된다.
실적 개선 배경은 올해로 5년 차를 맞은 5G 시장 안정화다. 기존 LTE 가입자들이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높은 5G로 많이 이동했고, 이를 위한 통신사들의 마케팅비 지출도 감소 추세다.
특히 올해 2분기 본격적으로 출시된 5G 중간요금제가 호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통신 3사는 지난 4월부터 데이터량이 40GB~100GB 구간인 5G 요금제를 대거 도입했는데, 기존 100GB 이상 고가 요금제에 부담을 느끼던 LTE 가입자 유입을 촉진했다는 평가다.
최근 탄력을 받는 비통신 신사업 분야 성과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SKT와 KT, LGU+는 각각 AI컴퍼니, 디지코,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매출 성장을 지속해 왔다.
그런데도 통신 3사 표정은 밝지 않다. '통신 시장 과점에 따른 문제를 해소한다'며 칼을 빼든 정부 정책이 하반기 실적의 변수가 될 수 있어서다. 실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6일 발표한 '통신 시장 경쟁 촉진 방안'을 보면, 통신 3사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내용이 많다.
단기적으로는 휴대폰 교체 활성화 추진책이 발목을 잡을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유통망의 단말기 추가지원금 한도를 공시지원금의 15%→30%로 상향한다. 이동전화 선택약정 할인제도는 기존 2년 중심에서 1년 중심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변경하고, 초고속인터넷 약정기간 후반부 위약금도 대폭 인하한다.
또 단말의 종류와 관계없이 LTE·5G 요금제를 선택해 가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다시 수익성이 낮은 LTE 가입자가 늘어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아울러 주기적으로 고객들에게 이용 패턴에 기반한 '최적 요금제'를 고지해야 한다.
전반적인 5G 요금제 수준을 낮추는 '저가 요금제' 도입 요구도 부담이다. 국회와 시민단체는 최근 실효성 있는 가계통신비 절감을 위해선 '기본요금' 자체를 인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통신 시장 경쟁 촉진을 통한 가계통신비 인하를 강하게 추진하는 만큼, 하반기 실적에도 일정 부분 영향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를 최소화하는 한편, 신사업 부문에서 성과를 극대화하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임재덕 기자
Limjd8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