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 금요일

  • 서울 6℃

  • 인천 8℃

  • 백령 9℃

  • 춘천 7℃

  • 강릉 8℃

  • 청주 9℃

  • 수원 8℃

  • 안동 10℃

  • 울릉도 10℃

  • 독도 10℃

  • 대전 10℃

  • 전주 11℃

  • 광주 12℃

  • 목포 12℃

  • 여수 13℃

  • 대구 12℃

  • 울산 12℃

  • 창원 12℃

  • 부산 12℃

  • 제주 14℃

오피니언 HMM 매각, 성공하려면 판을 바꿔야 한다

오피니언 기자수첩

HMM 매각, 성공하려면 판을 바꿔야 한다

등록 2024.06.12 14:27

수정 2024.06.12 14:30

전소연

  기자

공유

reporter
다사다난(多事多難). HMM의 현 상황을 뜻하는 사자성어다. HMM의 매각이 결국 올해도 어렵게 됐다. 그렇다면 내년에는, 내후년에는 가능한 걸까.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의 매각 작업이 불투명하다. 지난해부터 '연내 매각'을 목표로 국내 굴지의 기업들과 인수합병(M&A)을 추진해 왔지만, 매각 우선협상대상자였던 하림그룹과의 협상이 최종 결렬되면서다.

무엇이 HMM의 매각 작업을 어렵게 하는 걸까. 답은 '영구채 전환'에 있다. 현재 HMM의 최대 주주는 KDB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다. 이들 채권단은 지난해 10월과 지난달 각각 4000억원, 10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주식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대상 주식 수는 각각 8000만주, 2000만주다.

다만 이 경우 생기는 문제점은 채권단의 지분율이다. 산은과 해진공은 지난달 1000억원 규모의 CB를 주식으로 전환하면서 기존 57.88%였던 합산 지분율이 59.1%까지 늘었다. 여기에 내년 4월까지 예정된 남은 영구채 주식 전환까지 마치면 산은과 해진공의 HMM 지분율은 무려 72%까지 올라간다.

물론 채권단의 입장에서 주식 전환 권리를 포기하면 배임 소지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이들이 원리금 상환 대신 HMM의 잔여 영구채를 모두 주식으로 전환하겠다는 이유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도 전날 열린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남은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배임"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도 비싼 HMM의 몸값을 무시하기도 힘들다. 만일 채권단이 잔여 영구채를 모두 주식으로 전환해 지분율이 72%가 된다면, HMM의 몸값은 무려 10조원을 훌쩍 넘길 수 있다. 즉, 인수기업 입장에서는 현금 10조원을 들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 경우 중견기업은 물론 대기업 참전도 쉽지 않을 수 있다.

현재 매각 방식이라면 인수자 입장에서도 정부라는 '2대 주주' 변수가 남아있어 경영권을 쥐기도 어렵다. 지난해 우선협상 대상자였던 하림 측도 "실질적인 경영권을 담보해 주지 않고 최대 주주 지위만 갖도록 하는 거래는 어떤 민간기업도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렇다면 채권단은 무엇을 해야 할까. 물론 올해는 매각이 무산됐지만, 향후 추진될 재매각 로드맵은 지난해와 다르게 설계할 필요성도 있어 보인다. 인수자에게 모든 경영권을 넘길지, 또는 2대 주주로 남아있을지 등의 매각 방식이다.

HMM은 국내 유일 국적선사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도 기자간담회에서 "공적 자금이 투입되는 구조조정 기업은 관여 주체가 많아 인수합병(M&A) 과정이 복잡하다"고 말했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더라도 졸속 매각이 아닌 다양한 매각 방식을 고민해 향후 재매각을 추진해야 한다.

지난해 HMM 매각을 두고 다양한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일각에서는 기대했던 대기업의 참전이 없었다는 점을 아쉬워했고, 또 한편에서는 하림그룹과의 협상 실패는 예견된 수순이라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올해에도, 내년에도 HMM의 재매각을 두고 다양한 시선과 목소리가 나올 것이다. 산은과 해진공은 지난해 하림그룹과의 협상 결렬을 반면교사 삼아 향후 추진할 재매각은 작년과는 다른 방식으로 설계하길 기대해 본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