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IPO 시장동향 분석'에 따르면 작년 IPO 기업수는 77곳으로 작년보다 5곳 줄었으나 공모금액은 3조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6.4%(6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HD현대마린솔루션(7423억원)과 시프트업(4350억원), 산일전기(2660억원), 엠앤씨솔루션(1560억원), 더본코리아(1020억원) 등 공모금액 1000억원 이상 대어 IPO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작년에도 코스닥을 중심으로 한 중소형 IPO(100억원~500억원)가 62곳으로 76.6% 비중을 차지했다.
특례상장기업은 41사로 전년 대비 24.2%(8개사)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2024년 코스닥 상장기업(70사)의 58.6%를 차지했다.
작년 상반기 IPO 호황으로 수요예측 참여기관 수는 1507사에서 1871사로 24.2% 증가했다. 운용사 및 투자일임업자의 운용, 고유 재산 참여 증가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이다.
다만 기관참여자 청약한도를 자기자본 또는 위탁재산(AUM)으로 제한한 것과 하반기 불확실성 확대 등에 따라 수요예측 경쟁률은 전년 대비 16.2%(925대 1→775대 1) 떨어졌다.
기관투자자가 공모가 밴드상단을 초과해 희망가격을 제시한 비중은 2023년(70.0%) 대비 13.8%포인트 증가한 83.8%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상단초과 가격제시 증가에 따라 지난해 밴드상단 초과 가격결정 비율(66%)도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기관투자자 배정물량 중 의무보유 확약은 18.1%로 의무보유 확약 우선 배정 시행에도 전년 대비 8.3%포인트 감소했다. 확약건 중 기간은 3개월이 45.8%로 가장 많았고 이어 6개월(33.7%), 1개월(9.5%), 15일(9.7%) 순이다.
작년 일반투자자 청약 경쟁률은 1016대 1로 전년(934대 1) 대비 8.8% 증가했다. 청약증거금은 총 355조원으로 전년 대비 20.2%(60조원) 늘었다.
공모가 대비 상장일 시초가 및 종가 수익률은 역대 최고 수준이었던 2023년 대비 하락했다. 시초가는 82%에서 65%로, 종가는 72%에서 42%로 떨어졌다.
금감원은 IPO시장의 공정성·합리성 제고 및 투자자 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IPO 시장이 단기차익 목적 투자에서 기업가치 기반 투자 위주로 합리화될 수 있도록 IPO제도 개선방안의 원활한 정착을 지원하는 한편, 주관사와 간담회를 통해 IPO 심사 과정에서 확인된 특이사항을 공유하고 업계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유선희 기자
poin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