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2월 대비 증가폭 축소주택담보대출 3조4000억원 증가···실수요자 중심 관리효과2월 부동산 거래 증가 통계 미반영···4~5월 증가 추이 살펴야
금융당국은 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19층 대회의실에서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 주재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3월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및 5대 은행 등 금융회사가 참석했다.
3월 주택담보대출은 3조4000억원 증가했으며 은행권 주택담보대출과 제2금융권 주택담보대출 모두 전월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대출은 3조원 감소해 전월 대비 감소폭이 확대됐다. 이는 신용대출이 1조2000억원 감소세로 전환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2월 3조3000억원에서 3월 1조4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축소됐으며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2월 9000억원에서 3월 1000억원 감소세로 전환됐다.
은행권 가계대출의 세부 증감 동향을 살펴보면 정책성대출은 2월 2조8000억원에서 3월 1조5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축소된 반면, 은행 자체 주담대는 2월 6000억원에서 3월 7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소폭 확대됐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감소폭이 확대됐다.
제2금융권의 경우 상호금융권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고 저축은행은 감소폭이 확대됐다. 여전사는 감소세로 전환됐고 보험은 전월과 유사한 감소폭을 유지했다.
이날 열린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참석자들은 3월 가계부채 동향을 점검·평가하고 향후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2월 신학기 이사수요 등으로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던 주택담보대출이 3월 들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고, 분기말 부실채권 매·상각 등에 따른 대출 잔액 감소효과가 더해지며 3월 중 가계대출 증가세가 상당폭 둔화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평가했다.
또한 디딤돌·버팀목 정책대출의 경우 은행재원 외에 기금 직접 대출분까지 고려할 때 1월 2조2000억원, 2월 2조4000억원, 3월 1조6000억원 등 증가세가 점차 축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실수요자 중심의 자금 공급을 위한 정부의 관리 효과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지난 2월 서울 일부 지역의 규제 완화 이후 부동산 거래 증가로 인한 주담대 승인물량은 아직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아 강남3구 등 서울 주요 주거선호지역을 비롯해 일부 지역의 부동산 시장 동향 및 지역별 4~5월 중 가계대출 증감 추이를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권대영 사무처장은 "가계대출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3월 부동산 규제 재시행 이전 활발하게 이뤄진 주택거래는 다소 시차를 두고 가계부채 통계에 반영되는 만큼, 4월 이후가 향후 가계대출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의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 여부를 국토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면밀히 살펴보고, 금융권과 함께 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은행권도 가계대출 증가 상황에 따라 필요시 자율관리를 강화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임을 밝혔다.
참석자들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5월 전세자금대출 보증비율 인하 및 6월 소득심사 강화와 함께 7월부터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3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되는 등 각종 가계대출 제도가 변경될 예정인 만큼 원활한 시행을 위해 금융권의 준비상황도 점검했다.
권 사무처장은 "2분기에도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대출금리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금융권이 보다 적극적이고 자율적으로 월별·분기별 경영목표에 맞춰 가계대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면서 올해 가계부채 관리방안에서 제시한 주요 과제도 차질없이 이행해 나갈 것이며 이를 위해 금융권 및 관계기관도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